외국어/한국어

[스크랩] 13.바른 언어 생활-발음

후쿠시아 2013. 3. 9. 12:26

발    음  

                     

 

   음운의 발음 : 우리말에서 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거나 혼동이 심한 것이 '겹받침의 발음'이다.

⑴ 'ㄺ, ㄻ, ㄿ'의 발음 → 이들은 대체로 [ㄱ, ㅁ, ㅂ]로 발음되며, 'ㄺ'이 어간 말음이고 그 뒤에 'ㄱ'이

                          오면 [ㄹ]로 발음함. 그리고 이 겹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자연스럽게 연음된다.

    예> 밝지[박찌], 밝습니다[박씀니다], 밝고[발꼬], 밝기[발끼], 밝아[발가]

          젊고[점꼬], 젊지[점찌], 젊으나[절므나]

          읊고[읍꼬], 읊지[읍찌], 읊게[읍께], 읊어[을퍼]

⑵ 'ㄼ, ㄾ'의 발음 → 이들은 대체로 [ㄹ]로 발음되며, '밟다'의 '밟-'은 자음 앞에서 [ㅂ]으로 발음

                           된다. 그리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연음된다.

    예> 넓다[널따], 넓고[널꼬], 넓지[널찌], 넓습니다[널씀니다], 넓어[널버]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밟다[밥따], 밟고[밥꼬], 밟지[밥찌], 밟습니다[밥씀니다], 밟아[발바]

          핥다[할따], 핥고[할꼬], 핥지[할찌], 핥습니다[할씀니다], 핥아[할타]

 

                    

 

   소리의 길이

⑴ 우리말에서 소리의 길이는 점차 사라져 가는 추세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기능은 여전히 인정되고 있으므로, 의미를 결정짓는 소리의 길고 짧음은 반드시 구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동음이의어에서 소리의 길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⑵ 예

짧다(短)

길다(長)

짧다(短)

길다(長)

짧다(短)

길다(長)

감사(監査)

감 : 사(感謝)

감상(鑑賞)

감 : 상(感想)

난민(難民)

난 : 민(亂民)

정상(頂上)

정 : 상(正常)

군민(軍民)

군 : 민(郡民)

새집(新家)

새 : 집(巢)

방화(防火)

방 : 화(放火)

성인(成人)

성 : 인(聖人)

버리다

벌 : 이다

가정(家庭)

가 : 정(假定)

밤 (栗)

밤 : (夜)

발 (足)

발 : (簾)

굴 (石花)

굴 :  (窟)

솔 (松)

솔: (먼지털이)

눈(眼), 눈(눈금)

눈 : (雪)

벌(罰), 벌(옷)

벌 : (곤충)

말다

말 : 다

대장(隊長)
대장(臺帳)

대 : 장(大腸) 대 : 장(大將)

사신(私信)

사 : 신(使臣)

 

 

 

 

 

                    

 

   변동된 음운의 발음

        → 음운의 변동 규칙을 제대로 알아서 변동된 음운으로 발음해야 함.

⑴ 모음의 경우 : 'ㅐ'와 'ㅔ'의 혼란, 'ㅖ'를 'ㅣ'로 발음하는 것, 'ㅓ'와 'ㅡ'의 혼란 등이 주로 문제가 됨.

⑵ 자음의 경우 : 거센소리와 된소리의 발음에 문제가 많음.

⑶ 음운의 변동 중에서 끝소리 규칙, 동화현상, 사잇소리 현상 등을 정확히 지켜 발음해야 한다.

  ① 음절 끝소리 : 들녘에→[들녀케], 윷이→[유치], 숱을→[수틀], 닭이→[달기], 값을→[갑쓸] 등.

  ② 모음동화 : 손잡이→[손재비], 먹이다→[메기다], 갖은→[가진], 부스스→[부시시],

                               으스대다→[으시대다] 등은 정확한 발음이 아니다.

  ③ 자음동화 : 갑갑하다→[갑까파다], 둔갑→[둔갑], 컴컴하다→[컴컴하다], 샅바→[삳빠],

                              젖먹이→[전머기], 단백질→[단백찔] 등으로 발음해야 함.

  ④ 소리의 첨가 현상 : 굴욕→[굴�], 육이오→[융니오], 다르다→[달르다], 벼르다→[별르다] 등은

                                       소리가 쓸데없이 첨가된 것으로 정확한 발음이 아니다.

 

                    

 

   외래어의 발음

⑴ 외래어 발음의 원칙 → 현지음 중심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외래어 표기의 원칙

       제1항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⑵ 외국말은 아무리 정확하게 한글로 적는다고 하더라도, 완전하게 똑같이 적을 수는 없다. 각 언어의

     음운의 수가 다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발음이 완전히 같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⑶ 외래어 표기 용례집 활용하기.

       → 가스, 뷔페, 섀시(chassis), 새시(sash), 액세서리, 초콜릿, 패션, 비전, 앰뷸런스, 알칼리, 애드벌룬, 캘린더, 캐주얼, 카스텔라, 콜라주, 등.

 

출처:http://www.woorimal.net/

출처 : 신배섭의 국어 마을
글쓴이 : 2000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