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상식/생활

[스크랩] 백중의의미

후쿠시아 2013. 3. 14. 11:32

 

 

 

 

 

 

 

                                                음력 7월15일은 여름안거 해제일이며 백중날이다.

   

                                                    백중(白衆)은 과일과 음식 등 백 가지를 공양한

                                                    백종 (百種)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선방에서는 하안거 동안 정진하면서 생긴 스스로의

                                                   허물을 대중 앞에 사뢰고 참  회하는 자자(自恣)를 행하며

                                                   불자들은 선망부모를 천도하는 우란분절 법회를 가진다.

                                                이 우란분절 법회는 안거수행 대중에게 공양을 올린 공덕으로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제한 "목련존자"의 효행에서 비롯되었다

    

                                              목련존자가 신통력을 얻은 후  천안(千眼)으로 어머니를 찾아보았더니 

                                                            어머니가 무간지옥에 떨어져서

                            고통을 받고 있음을 알게되었다.  그래서 어머니를 구제 할 방법을 부처님께 여쭈었더니

                                       그때에 부처님께서 지금 살아 있는 부모나 7대의 선망부모를

                                                 위하여 하안거 해제일에 음식,의복,등촉,평상 등을

                                       갖추어서 시방의 고승대덕들에게 공양하면 그 공덕으로

                                      지옥의 고통에서 구할 수 있다고 하여 그대로 행한데서 유래한다

                                     조선시대에도 "음력 4월 초파일과 백중"을 일년 중 가장 큰 행사로 여겼다.

                                      민간에서는 이 날이 고된 농사를 끝내고 벌이는 칠월의 세시명절이다.

                                       세벌 김매기인 만두레를 끝낸 다음  벌이는 농민 및 머슴들의 

                                            대동굿으로서 농촌에서 일 하는 사람들의 최대 축제였다.

                                            불자들은 한여름의 풍성한 과일이나 햇곡식을  들고 절을

                                          찾아 스님들께 공양하거나 조상천도를 위한 기도를 한다.

 

 

출처 : 한소절
글쓴이 : 秀我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