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상식/건강

[스크랩] 허와 실의 개념

후쿠시아 2013. 4. 12. 11:05

허와 실

 

 

 

허와 실은 음과 양 같이 상대적인 개념이다.

 

이것은 화학시간에서 배우는 금속의 이온화 경향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K〉Ca〉Na〉Mg〉Al〉Zn〉Fe〉Ni〉Sn〉Pb〉(H)〉Cu〉Hg〉Ag〉Pt〉Au

 

예를 들어,

 

Mg가 Al을 만나면 Mg는 양으로 Al는 음으로 되지만,

 

Mg가 Na를 만나면 Mg는 음으로 Na는 양이 된는 것과 마찬가지다.

 

 

오행의 다섯기운도 각각 음과 양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나눌 수 있고,

 

 

음목

음화

음토

음금

음수

양목

양화

양토

양금

양수

 

또한 허와 실로 나눌 수 있다.

 

음은 음끼리, 양은 양끼리 허와 실로 나눌 수 있고,

 

같은 오행기운의 음과 양의 기운끼리 나눌 수 있다.

 

 

음목>양목

양목>음목

음화>음토

양금>양수

음목>음화

양화>양토

 

예를 들어, 목은 양목과 음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양목과 음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목의 특성을 구분하기 위하여 음목과 양목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전기의 특성을 전류와 전압으로 구분하는 것과 같다.

 

전류와 전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전류와 전압이 함께 전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의 힘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표현되는데, 전기의 힘이 일정할 경우,

 

전류의 크기가 커지면 전압이 작아지고, 전압이 커지면 전류가 작아진다.

 

목의 경우, 음목이 커지면 양목이 작아지고, 양목이 커지면 음목이 작아진다.

 

양목과 음목이 시소를 타고 노는 것과 같다.

 

 

여기서 양목이라도 양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음양은 분리되는 것이 아니고, 항상 함께하는 것이다.

 

양목이라고 하는 것은 양의 기운이 음의 기운보다 강한 목기운이라는 것이다.

 

음목의 경우도 양목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목에 속하는 간과 담의 경우,

 

음목인 간이 커지면 양목인 담이 작아지고,

 

양목인 담이 커지면 음목인 간이 작아진다.

 

 

목의 기능은 양목과 음목이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오행이 기능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음양의 비율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60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모터에 40의 힘을 가하면 모터가 40의 힘을 낸다.

 

40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모터에 60의 힘을 가하면 모터가 40의 힘을 내다가 탄다.

 

50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모터에 50의 힘을 가하면 모터가 50의 힘을 낸다.

 

음양의 비율이 균형을 이룰 때 오행의 기능이 최대가 된다.

 

음양의 비율이 균형을 이루지 못할 때 문제가 생긴다.

출처 : 오운육기학
글쓴이 : 최병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