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to부정사에 대해서(명사적/형용사적/부사적 용법)
to부정사는 "to+verb(동사)"의 형태로 되어있다. 이 때, 주의할 것은 to가 있다고 해서 뒤에 무조건 동사가 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to+동사의 경우(to부정사)도 있지만 to가 전치사로 쓰여서 뒤에 명사가 오는 경우도 있다.
(Ex)i sent her to you.
1)명사적 용법
말 그대로 동사 자체를 명사로 쓸 수 있도록 전환해 준다는 의미이다. 사실상 이런 기능은 동명사(~ing)형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동명사는 앞으로 언급할 형용사적 용법이나 부사적 용법으로는 쓸 수 없으므로 to부정사가 더 폭넓은 의미라고 하겠다. 다시 말해 명사적 용법(to부정사)는 동명사(~ing)로 바꾸어 써도 무난하다는 이야기이다.명사적 용법의 해석은 동명사와 같이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명사적 용법이므로 명사와 그 기능은 같다. 즉,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Ex1)주어 : To study English is interesting.영어권 나라 사람들은 주어가 긴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그래서 앞에 가주어 it을 붙인 뒤 진주어(to부정사)는 뒤에다 배치한다.즉 위의 예는 이렇게 바꿀 수 있다.->It's interesting to study English.
(Ex2)목적어 : I love to swim.
2)형용사적 용법
형용사란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다. 이 것도 동사 앞에 to를 붙여줌으로써 동사를 형용사적 의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주는 것이다. 이 때 to부정사는 수식해주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 해석은 "~하는,~한" 정도가 적합하겠다.
(Ex)I want someting to drink.
3)부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은 좀 복잡하게 나눠질 수 있다. 물론 의미상으로 나눠지는 것이기때문에 영어권에서는 이것도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지는 않는다. 부사는 형용사를 꾸미거나 문장 전체를 꾸민다. 마찬가지 기능을 하겠다.
*목적(~하기 위하여)
(in order/so as)+to부정사<-가로친 것을 쓰면 의미가 강조됨.
(Ex)He went to Australia to learn English.
*감정의 원인(~해서)
진주어+be동사+감정형용사+to부정사
(Ex)I'm so glad to see you.
*판단의 근거(~하다니)
(Ex)She must be foolish to believe such a thing.
*결과(~해서 ~되다, ~했으나 결국 ~하고 말다)
일반적으로 동사가 과거이고 해석은 앞에서 뒤로 내려서 해석한다...
(Ex)The boy grew up to be a scientist.
*조건(~한다면)
(Ex)You will be punished to do it a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