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왜 우울증인가에 대한 대답은 우울증이 많음 마음 병의 근본이기 때문
panic bird..
- 만약 재발이 오래된 정신적인 습관의 활성화와 관련된 것이라면 처음에 마음은 어떻게 해서 이러한 나쁜 습관을 갖게 된 것일까? - 마음은 왜 그런 나쁜 습관을 유지해야 했을까?
- 오래된 정신적 습관은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생각하는 것처럼"보이게 한다. 여기에는 현재의 정서상태, 과거 부정적인 사건, 그리고 상황이 바뀌지 않을때 야기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반추하면서 몰두하는 것이 포함된다. 반추의 핵심에는 소위 "불일치 모니터"라고 부르는 것 즉 원하고, 요구하고, 기대하고 혹은 두려워하는 것에 대한 정신적 모델이나 기준에 반하는 자기상태와 현재상황을 지속적으로 통제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있다. 이러한 불일치 모니터가 가동되기 시작하면 현재 상태와 현재상태사이의 불일치를 찾게 된다. 불일치가 감지되면 불일치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동기화되기도 하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부정적인 기분이 증폭되기도 한다. 이와같이 자신이 원하는 상태와 현재상태 사이의 불일치를 끊임없이 생각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게 되면 결국 자신이 빠져나오려고 하는 상태안으로 스스로를 가두게 될 뿐이다"
마음의 양식 바꾸기 - 마음챙김 훈련은 매 순간 마음의 양식을 더 잘 인식하고, 유용하지 못한 마음이 양식에서 벗어나 더 유용한 양식으로 들어가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행동양식 doing mode - 행동양식은 마음이 원치 않는 어떤 일들이 발생하는 것을 보았을때 일어난다. 상황이 어떻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과 어떻게 되기를 바라는 것 혹은 어떻게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사이의 불일치를 감지했을때 마음은 행동양식에 들어간다. - 이러한 불일치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두가지 감정이 발생 - 첫째, 자동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이 발생 - 둘째, 현재 또는 기대되는 상태와 소망하는 상태 사이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습관적인 마음패턴이 가동
존재양식 being mode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핵심주제 - 부정적인 사고패턴은 오래되고, 반복되고, 자동적인 인지적 습관에 기초하고 있다. - 핵심기술은 부정적이며 자기-영속적인 인지과정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나음을 챙기고(자각하고) 내려놓는 것이다. 내려놓는 것은 틀에 박힌 오랜 습관에 말려들지 않고 부정적인 순환고리를 이루면서 돌아가고 있는 사고패턴을 느끼지 않는 것. 집착으로부터의 자유.
배워야 할 것 1) 집중 - 특정한 초점에 주의를 집중하고 유지하는 능력은 MBCT 의 다른 모든 요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이다.
2) 사고, 감정(느낌), 신체적 감각을 자각하기(마음챙김) - 자각하지 못하면 도움이 되지 않는 패턴을 의도적으로 내려놓을 수 없기 때문에 마음챙김이 매우 중요하다. 마음챙김 그자체는 유용하지 못한 자기-영속적인 패턴에 요구되는 처리자원을 제거시켜주며, 어려움을 자각함으로써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상의 마음을 좀더 창조적으로 펼칠 수 있게 해준다.
3) 현재에 머물기
4) 탈중심화 - 생각, 감정 그리고 신체감각을 실제로 자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르쳐준다.
5) 수용/혐오하지 않기, 집착하지 않기, 온화하게 알아차리기
6) 내려놓기
7) 행동보다 존재, 목표를 성취하지 않기, 특별한 어떤 상태도 만들지 않기
8) 문제가 신체로 표현되는 것을 자각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