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방활동/학교폭력, 성폭력

[스크랩] MMPI-2 보충척도

후쿠시아 2013. 7. 18. 10:53

MMPI-2 보충척도


◎ MMPI-2의 문항군집을 문항분석, 요인분석, 직관적 절차를 통해 다양하게 재조합하여 새로운 척도를 개발.

◎ Dahlstrom 등은 450여 개 이상의 보충척도를 제시.

 - ‘지배성, 의심’과 같이 전통적인 것부터 ‘야구에서의 성공’과 같이 특이한 명칭까지 다양.

◎ 연구자료를 참조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척도들만을 MMPI-2에 포함(15개)

◎ 점수가 높을수록 제시된 해석 정보가 더 잘 들어맞을 것임.


1. 불안(anxiety)척도

 ① Welsh(1956) :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제1요인. (39문항)

 ② 문항내용 : 생각 및 사고과정, 부정적인 정서 색조 및 기분 부전, 비관주의 및 낮은 활력, 악성 심리상태 등.

 ③ 불안 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병리가 심한 쪽으로 채점되게 됨.

 ④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문항도 서슴없이 시인하는 수검자의 태도를 반영.

 ⑤ 높은 점수 해석 : 생활리듬이 느리고, 비관적이고, 주저하고 머뭇거리며 억제 됨,

                    평가장면에서 좀 더 자신에 대해 회의적임.

  - 정상인 집단 : 다소 슬프고 불행해 한다.

  - 정신과 장면 : 신경증적, 부적응적, 복종적, 다른 사람에게 쉽게 휘둘리며,

                 이전 심리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는 것 같다.

  - 불편감 : 대개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받으려는 동기가 강함.


2. 억압(repression)척도

 ① Welsh(1956) :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제2요인. (37문항)

 ② 문항내용 : 건강 및 신체증상, 정서성과 폭력 및 활동성, 사회적 상황에서의 타인에 대한 반응, 사회적 주도성과 개인이 느끼는 적절감 및 외모, 개인적인 흥미와 직업적 흥미 등.

 ③ 수검자가 여러 가지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검사 상에서 인정하지 않으려는 정도 시사.

 ④ 높은 점수 해석 :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생활양식을 택하는 사람들로 내향적이고, 내현화하는 사람.


3. 자아강도(ES : ego strength scale)척도

 ① Barron(1953) : 개인 심리치료를 받는 신경증 환자들의 반응을 예측. (52문항)

 ② 문항내용 : 신체기능, 은둔성, 도덕적 태도, 개인이 느끼는 적절감, 대처능력, 공포증, 불안 등.

 ③ 높은 점수 해석 : 높은 점수는 낮은 점수보다 치료기간 동안 좀 더 긍정적인 성격변화를 보이는 경향, 심리적으로 더 잘 적응하려는 경향, 일상생활에서 생기는 어려움 또는 스트레스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음, 정서적으로 잘 균형 잡혀 있는 것 같음.

    - 정서적 문제 : 문제가 만성적이라기보다는 상황적인 면이 있음, 개인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가지고 있음, 상담이나 심리치료에서의 긍정적 변화에 예후가 좋다고 시사.

 ④ 낮은 점수 해석 : 높은 사람에 상반, 상황적 요인이 좀 더 심각한 문제를 지닌 경향, 스트레스 대처 심리자원을 가지지 않은 듯, 치료적 변화에 대한 예후도 좋지 않음.


4. 지배성(Do : dominance)척도

 ① Gough, McClosky와 Meehl(1956) : 1:1 관계의 강자, 자신감과 관련. (25문항)

 ② 문항내용 : 주의집중력, 강박사고 및 행동, 자신감, 사회적 상황에서 불편감, 신체적 용모에 대한 관심, 인내력 및 정치적 견해 등.

 ③ 높은 점수의 해석 : 대면 상황에서 강하고, 쉽게 겁먹지 않고, 안전감, 안정감 및 자신감이 있음, 일상에서의 문제 또는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확신하는 사람.

    - 정신과 환자 : 불안, 우울, 신체증상 호소 등의 증상 수가 적은 편.


5. 사회적 책임감(Re : social responsibility)척도

 ① Gough, McClosky와 Meehl(1952) : 법과 규범, 관습의 존중. (30문항)

 ② 문항내용 : 사회적․도덕적 논점에 대한 관심으로 구성, 특권 및 청탁에 반대하는 것, 의무 및 극기에 대한 강조, 관습 대 저항, 일반적인 세상에 대한 신뢰 및 자신감, 마음의 평정, 확신 및 개인적 안정감 등.

 ③ 높은 점수의 해석 :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잘 받아들이고 부응하는 방식으로 행동, 정직 및 정의에 높은 가치를 두며, 확신에 차 있고 안정적인 사람.

    - 정신과 환자 :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 호소를 포함한 증상 수가 적음.


6. 대학생활 부적응(Mt : college maladjustment)척도

 ① Dleinmuntz(1961) : 대학생들의 정서적 적응 및 부적응을 구별해 내기 위해 구성.

                       (대학생이 아닌 경우 사용권하지 않음 - 41문항)

 ② Mt 척도 문항 요인분석

  - 낮은 자존감 : 자신감이 부족하며 자신을 다른 사람과 부정적인 쪽으로 비교하는 문항.

  - 활력 부족 : 피로감을 느끼고 뭔가를 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내는 문항

  - 냉소적 태도/안절부절못함 :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 흥분 및 입 밖으로 꺼내기 어려운  나쁜 생각들과 관련된 문항.

 ③ 높은 점수의 해석 : 점수가 높은 대학생들은 일반적인 부적응을 나타냄, 정서적 혼란감에 민감. (분노를 행동화하는 면과는 관련이 적은 듯.)


7.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k)척도

 ① Keane 등(1984)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개발.

 ② 문항내용 : 상당한 정서적 혼란을 시사, 불안, 걱정 및 수면장애를 다루는 문항, 죄책감과 우울을 시사하는 문항.

 ③ PTSD 환자와 다른 진단을 받은 환자를 구분하는 것 보다는 PTSD 환자와 정상인을 구별해 내는 데  더 효과적.

 ④ 높은 점수의 해석 : PTSD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증상 및 행동을 많이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


8. 결혼생활 부적응(MDS : marital distress) 척도

 ① Hjemboe, Almagor와 Butcher(1992) : 부부관계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 (14문항)

 ② 긍정적인 결혼생활 적응이 어렵다고 하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방향으로 채점.

 ③ 높은 점수 :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다른 증상의 기저에 결혼생활 문제가 있는지 주의해서 살 펴봐야 함.


9. 적대감(Ho : hostility)척도

 ① Cook과 Medley(1954) 학급 내에서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라포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 (50문항)

 ② 문항내용 : 냉소주의, 적대감, 공격적 반응, 적대적 귀인, 사회적 회피, 기타 등.

 ③ 점수가 높은 사람 : 타인을 별로 신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부정직하고 사교적이지 않고 부도덕하고 난폭하며 비열하다고 보며, 타인들은 죄값에 응당한 고통을 받아야 한다고 믿는다.

 ④ 신경증 성향 요소가 크며, 불안 및 우울감이 크고 신체증상을 더 호소하며 자시감도 낮다는 점.

 ⑤ 높은 점수의 해석 : 냉소적인 경향이 있고, 분노를 경험하고 외현적으로 적대적 행동을 드러     내는 일이 더 많으며,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처럼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


10. 적대감-과잉통제(O-H : overcontrolled-hostility)척도

 ① Megargee, Cook과 Mendelsohn(1967) : 극단적 폭력 범죄를 저지른 수감자, 다소 폭력적인       범죄를 저지른 수감자, 폭력 범죄가 아닌 범죄를 저지른 수감자 및 어떤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항 구성. (28문항)

 ② 높은 점수의 해석

  - 교정장면 : 공격 및 폭력적 행동과 연관.

  - 다른장면 : 사람들이 화가 났을 때 반응하는 전형적인 방식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정보 제공.

 ③ 낮은 점수의 해석 : 만성적으로 공격적인 사람들이거나 적절하게 공격성을 표현하는 사람일      수 있음.

 

11. MacAndrew의 알코올중독 척도(MAC-R)

 ① MacAndrew(1965) : 정신과 환자 중 알코올중독자와 알코올중독이 아닌 환자들을 변별하기       위해 개발. (49문항)

 ② 점수 해석 : 척도해석은 원래 MAC 척도해석과 비슷할 수 있음.

   - 높은 점수 : 알코올이나 다른 물질남용 문제가 있을 수 있음.


12. 중독 인정(AAS : addiction acknowledgement scale)척도

 ① Weed(1992) : 물질남용과 관련된 명백한 내용을 포함하는 문항을 사용하여 개발. (13문항)

 ② 척도가 높은 사람 : 과도하게 술을 마실 뿐만 아니라 처방전 없이 약을 복용함.

 ③ T>60점 : 물질남용 문제를 솔직하게 인정.

   - 낮은 점수 : 물질남용 문제를 드러내고 싶지 않은 사람.


13. 중독 가능성(APS : addiction potential scale)척도

 ① Weed(1992)에 의해 개발. (39문항)

 ② 점수 해석 : 현재 남용 문제가 있나 없나를 떠나서 물질남용의 가능성 혹은 취약성을 측정,      현재 물질남용을 하고 있거나 과거에 그랬던 사람을 가려낼 수 있음.


14. 남성적 성역할(GM) 및 여성적 성역할(GF)척도

 ① Peterson과 Dahlstrom(1992) MMPI의 Mf 척도가 지닌 양극을 남성적 요소와 여성적 요소로       나누어 측정. (GM - 47문항, GF - 46문항)

 ② 문항내용

  - GM : 두려움, 불안 및 신체증상의 부인을 다루며, 극단적인 감수성을 부인하면서 자신을 독     립적이고 단호하며 자신 있는 사람으로 나타내는 면과 연관.

  - GF : 비사회적이거나 반사회적인 행동의 부인과 연관, 과도한 감수성을 인정하는 문항으로      이뤄짐.

 ③ 척도 점수

  - GM 척도 : 자신감, 인내력, 자기 창조감의 부족 및 다른 긍정적 특성들과 정적 상관.

  - GF 척도 : 히스테리컬한 행동, 남자들의 경우 화 조절하기의 어려움, 그리고 남녀 모두의 경     우 알코올 오용 및 처방전 없는 약물 오남용 등 부정적인 특성과 상관.

 ④ 남녀 모두 GM척도 점수가 높은 경우 이 척도 점수가 낮은 사람들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경향.


15. 모호-명백 소척도(subtle-obvious subscales)

 ① Wiener(1948)는 정서적 장애를 시사한다는 점을 알아차릴 수 있는 명백문항과 알아차리기      어려운 모호문항을 MMPI에서 구분함. 

 ② 결론

  - 모호 문항이 임상척도에 포함된 이유는 문항분석을 교차타당화하지 않았기 때문.

  - 검사 외 요인 행동과 가장 관련된 것은 명백 문항이지 모호 문항이 아니다.

  - 정신병리를 최소화하거나 가장하는 것을 목적.

  - 표준에서 벗어나는 반응 세트를 확인하는 데는 MMPI-2 타당도 척도가 모호-명백 소

    척도 만큼 보다 더 낫다.


<MMPI-2의 보충척도에서 높은 척도 점수 해석>

척도명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A

1. 전반적으로 부적응적이다.

2. 불안하고 마음이 편치 않다.

3. 우울하다.

4.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5. 개인적인 생활리듬이 느리다.

6. 자살 생각이 있음을 인정한다.

7. 비관적이다.

8. 냉담하고 감정에 치우치지 않으며, 잘 흥분하지 않는다.

9. 수줍어하고 내향적이다.

10.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

11. 주저하고 머뭇거린다.

12. 억제되어 있고 과잉통제한다.

13. 이런저런 사소한 느낌에 휘둘린다.

14. 방어적이다.

15. 합리화하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남을 탓한다.

16. 사회적 장면에서 안정감이 부족하다.

17. 권위에 순응하고 과도하게 수용한다.

18. 복종적이고 고분고분하며 피암시적이다.

19. 조심스럽다.

20. 까다롭다.

21. 남자라면, 연약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 행동을 한다.

22. 냉정하고 거리감을 유지하며 무관심해 보인다.

23. 스트레스가 생기면 혼란스러워하고 마음이 흐트러지며 부적응적이 된다.

24. 정신건강 문제로 이원 치료한 과거력이 있다.

25. 심리치료를 통해 변화를 경험하고 싶을 정도로 심리적 불편감이 크다.

R

1. 수동적이고 복종적이다.

2. 쉽게 흥분하지 않는다.

3. 관습적이고 의례적이다.

4. 느리고 공들여 일한다.

5. 정신운동지체를 보일 수 있다.

6. 내향적이다.

7.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Es

1. 심각한 증상의 수나 정도가 덜하다.

2. 만성적인 정신병리가 덜하다.

3. 안정적이고 신뢰가 가며 책임감이 있다.

4. 참을성이 있고 편견이 없다.

5. 기민하고 활력이 넘치며 대담하다.

6. 감각추구자일 수 있다.

7. 단호하고 인내력이 있다.

8. 자신감이 있고, 거리낌 없이 말하며 사교적이다.

9. 지적이고 자원이 풍부하며 독립적이다.

10. 안정된 현실감이 있다.

11. 사람들과 잘 지낸다.

12. 호감가는 첫인상을 준다.

13. 타인의 수용을 얻는다.

14. 기회를 잘 보고 사람을 잘 다룬다.

15. 활력이 넘치고 흥미가 많다.

16. 남자일 경우, 남성 특유의 방식으로 행동한다.

17. 권위에 대해 적대적이고 저항적이다.

18. 경쟁적이며 일 중심적이다.

19. 빈정거리며 냉소적일 수도 있다.

20.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로 도움을 구한다.

21. 심리치료에서 직면을 이겨 낼 수 있다.

Do

1. 침착하고 확신에 차 보인다.

2. 안정감이 있고 자신감이 있다.

3. 솔직하게 행동하는게 마음 편한 것 같다.

4. 낙천적이다.

5. 내적 자원이 있고 유능하다.

6. 현실적이고 성취지향적이다.

7. 충분히 어려움을 이겨 낼 힘이 있다고 느낀다.

8. 인내심이 있다.

9. 도덕적 본분을 다한다.

10. 현실에 맞서려는 욕구가 강하다.

11. 사회적인 장면에서 편안해한다.

12. 정신과 환자라면,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 호소 등의 증상 수가 적은

13. 경향이 있으며, 다소 과대망상적일 수도 있다.

Re

1.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인다.

2. 정의감이 강하다.

3. 스스로에 대한 규준이 높다.

4. 특권 및 청탁을 거부한다.

5. 자신이 짊어진 부담 및 의무 이행을 과도하게 강조한다.

6. 안정감이 있고 자신감이 있다.

7. 사회적인 장면에서 편안해한다.

8. 일반적으로 세상에 대한 신뢰 및 자신감이 있다.

9. 정신과 환자의 경우, 다른 내원자들보다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 호소를 포함한 증상 수가 적은 편이다.

Mt

1. 무능하다.

2. 비관적이다.

3. 매사에 늦장을 부린다.

4. 불아하고 걱정이 많다.

5.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신체증상을 보인다.

6. 인생살이가 힘들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PK

1. 강한 정서적 고통감을 호소하고 있다.

2. 불안 및 수면장애 증상을 보고한다.

3. 죄책감과 우울감을 느낀다.

4. 원하지 않은 혼란스러운 생각들이 있을 수 있다.

5. 감정 및 인지적 통제력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한다.

6.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며 학대받고 있다고 느낀다.

MDS

1. 전반적으로 부적응적이다.

2. 우울을 경험하고 있을 수 있다.

3. 거의 대부분 실패했다고 느낄 수 있다.

4. 인생살이가 힘들다고 느낀다.

5. 화가 나 있다.

6. 친구가 극소수이거나 아예 없으며, 사람들이 자신을 거부한다고 느낄 수 있다.

Ho

1. 냉소적이고 의심이 많으며 잘 믿지 못하는 것 같다.

2. 화가 많이 나는데, 특히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그렇다.

3. 우호적이지 않아 보인다.

4. 적대감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린다.

5. 자신의 문제에 대해 다른 사람을 비난한다.

6.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다고 지각하며, 이를 구하려 하지도 않는다.

7. 높은 수준의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8. 자기개념이 빈약하다.

9. 심각한 건강상 문제가 있을 위험이 크다.

10.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지 못한다.

O-H

1. 보복을 하지 않는다.

2. 화난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 사회성이 있고 책임감도 있다.

4. 다른 사람보다 뛰어나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

5. 다른 사람에게 의존적이다.

6. 믿음직스럽다.

7. 충분한 돌봄을 받으며 지지적인 가족 분위기에서 성장했다고 기술한다.

8. 정신과 입원환자의 경우, 다소 과대망상적이지만 협조적일 수 있다.

9. 정신건강센터 내원자의 경우, 다른 내담자들보다 증상 수나 부정적인 특성을 적게 호소할 수 있다.

MAC-R

1. 사회적으로 외향적이다.

2. 과시적이다.

3. 자신감이 있고 자기주장적이다.

4. 술을 마신 뒤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을 수 있다.

5. 경쟁과 위험을 즐긴다.

6. 정신을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7. 학교 장면에서 말썽을 부리거나 혹은 법적인 문제를 일으킨 과거력이 있다.

8. 공격적이다.

9. 정신과적 환자라면, 다른 환자들보다 자살시도 경험이 많을 수 있다.

AAS

1. 정신건강 관련 혹은 법적 장면에서는, 물질남용이나 물질의존으로 진단받을 수 있다.

2. 행동화(acting-out)의 과거력이 있다.

3. 충동적이다.

4. 위험을 즐긴다.

5. 판단력이 좋지 않다.

6. 화를 내고 공격적이다.

7. 비판적이고 논쟁적이다.

8. 가족 내 문제가 있다.

9. 쉽게 동요하고 기분 변화가 잦다.

출처 : popeoli7
글쓴이 : Olivi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