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리다'와 '늘이다' '늘리다'와 '늘이다' 질문 : 방송 자막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휘법 중 '박자를 늘여서 지휘'라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네요. 문맥상으로는 '늘이다'가 맞는 것 같은데 '박자'라는 단어를 사전에 찾아보니 '음악적 시간을 구성하는 기본적 단위. 보통 마디와 일치한다'라고 .. 외국어/한국어 2014.10.28
'늘리다'와 '늘이다' '늘리다'와 '늘이다' 질문 : 고등학교 수업 시간에 배울 때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은 '늘이다'이고 양이나 수를 많게 하는 것은 '늘리다'인데, 바지는 늘리다라고 배워서 의문이 있었는데, 대학교 수업에서 또 배우게 돼서 '늘리다'가 아니냐고 여쭈어 봤더니, 바지는 길이니까 '늘이다'라고 하.. 외국어/한국어 2014.10.28
'내주다' 띄어쓰기 '내주다' 띄어쓰기 질문 : 다음과 같은 경우 띄어쓰기가 궁금합니다. 1. 시간을 내주셔서/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2. 선생님께서 숙제를 내주셨다/내 주셨다. 답변 : 제시하신 문장은 동사 '내주다'를 쓸 문맥이 아니고, 본용언 '내다'와 보조 용언 '주다'를 써야 할 문맥입니다. 따라서 보조 용.. 외국어/한국어 2014.09.30
'무슨'과 '어떤'의 차이, '어떻다', '그렇다'의 활용 '무슨'과 '어떤'의 차이, '어떻다', '그렇다'의 활용 질문 : 1. '어떤'과 '무슨'의 정확한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예) 어떤 색을 좋아합니까?/무슨 색을 좋아합니까? 잃어버린 모자는 어떤 색입니까?/잃어버린 모자는 무슨 색입니까? 2. 'ㅎ' 불규칙에 대한 질문입니다. 'ㅎ' 불규칙의 경우 'ㅏ'와 .. 외국어/한국어 2014.08.04
'되요'와 '돼요' '되요'와 '돼요' 질문 : "한 사람이면 됩니다."라고 할 때 '한 사람이면 돼요'가 맞는지, '한 사람이면 되요'가 맞는지 늘 헷갈려요. 답변 : ‘돼요.’로 적습니다. ‘되-’는 ‘되다’의 어간이고, ‘-요’는 보조사입니다. 용언 어간 뒤에 어미가 붙지 않고 바로 보조사가 붙을 수 없습니다. .. 외국어/한국어 2014.07.21
'에요', '이에요', '예요'의 차이 '에요', '이에요', '예요'의 차이 질문 : 에요와 이에요의 차이를 알고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사전에 설명과 용례가 나와 있긴 하지만 실제로 적용하려니 여전히 헷갈리네요. -에요와 -예요의 어법상 차이점과 누구에요?, 누구예요? 중 어느 것이 맞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 '-에요'는 '이다.. 외국어/한국어 201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