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Experience with Korean Adoptees
My very first
encounter with Korean adoptees happened a long time ago when my wife and I were
going around garage sales in
Especially, when they kindly showed us their Korean baby’s room, decorated with the Korean flag and traditional clothes on the wall, we were very impressed that those American parents, without any prejudice whatsoever, had been doing their best to inspire their baby to the Korean spirit even when it was still too young. Also, we felt very grateful that they had given the poor Korean babies a chance to enjoy their lives in the land of opportunity.
Since modernization of
My bias towards the Korean adoptees began to change drastically when Director Kim showed an interest in establishing a program inviting them to campus and teaching them about their mother land, especially its language and culture. I also thought that it is our responsibility to do that job and that they would be an invaluable asset to the nation after all, like Richard Park, a famous Korean-American NHL hockey player of Minnesota Wild. I was very glad to hear him say in a recent TV interview, “I’m proud of who I am and where I come from.” That’s the spirit.
Now, we have an institute, IIIHR, for those purposes on campus. I was fortunate to teach a course on Korean culture, and this is my second semester. Teaching about Korean culture on the one hand and listening to their stories on the other, I got to know them better and understand them better. I like their sincere attitude about the program and their enthusiasm about learning. Whatever their birth origin is, I learned through this class that they all have been raised properly and that they all have cultivated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a positive way. In addition, I am convinced that they are no different from other ordinary Korean people, and that it is time we discarded all unnecessary prejudice towards them and kept supporting this kind of program. (June 2003)
한국 입양아들과의경험
내가 처음으로 한국 입양아들과 만나게 된 것은 오래 전에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내 아내와 차고세일을 보러 돌아다닐 때였다. 그 때 놀라웠던 일은 많은 미네소타 가정이 한국 아기들을 입양했었고, 두 명 혹은 세 명도 입양한 가족들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한국 아기들을 입양하도록 했는 지에 대한 의문이 생겼고, 이에 대한 그들의 즉각적인 대답은 한국 아기들이 착하다는 것이었다.
특히, 친절하게 벽에 태극기와 한복으로 장식되어 있는 아기의 방을 보여주었을 때, 미국 부모들이 선입견 하나 없이 아직 어리긴 해도 그들이 입양한 아기에게 한국 정신을 불어 넣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깊은 감명을 받았다. 또한, 그들이 불쌍한 한국 아기들을 데려와 기회의 땅에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사실에 우리 부부는 감사함을 느꼈다.
한국이 현대화를 겪은 이후, 거의 대부분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은 결혼하지 않은 젊은 커플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고아들이 생기게 되었다. 아이가 없는 가정들도 피가 다른 아이를 쉽게 받아 들일 수 없어서 입양하기를 주저했고, 더구나 그 아이가 어떤 부모에게 태어났는 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더 했다. 이와 같은 보수적인 상황에서 그렇게 태어난 고아들은 외국으로 입양되는 길 외에 딴 방법이 없었다.
한국 입양아들에 대한 나의 선입견은 김 소장님께서 그들을 우리 학교로 데려와서 조국, 특히 그 언어와 문화에 대해 가르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관심을 보이셨을 때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나 또한 그 일을 해야 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며, 미네소타 와일드의 유명한 한국계 미국인 하키 선수인 리처드 박처럼 결국에는 그들도 우리 나라의 귀중한 재산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최근 한 TV 인터뷰에서 “내가 누군 지, 나의 고향은 어딘 지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많이 반가웠으며, 그런 것이 이런 프로그램의 참 목적이 아닐까 싶다.
지금 학교에는 그런 해외입양아들을 위한 국제인력지원연구소가 있다. 다행하게도 한국문화 강좌를 가르치고 있으며, 이번이 두 번째 학기이다. 한편으로는 한국 문화를 가르치고 또 한편으로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들을 더 잘 알고, 더 잘 이해할 수 기회가 되었다. 이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성심껏 참여하고 있으며 배움에 대한 그들의 열정도 마음에 든다. 그들의 출생이 어떻게 되었던 지 간에 이 수업을 통하여 그들은 모두 올바르게 자라났고 긍정적으로 그들 나름대로의 성격을 키워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들도 여느 다른 한국인들과 전혀 다를 것이 없으며, 이제는 그들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을 버리고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할 때라는 확신을 가지게 된다. (2003. 6)'생활상식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런 회사 다니고싶죠? (0) | 2012.11.30 |
---|---|
[스크랩] 합의요령 (0) | 2012.11.30 |
고연봉 1위 '도선사', 도대체 얼마 벌길래? (0) | 2012.11.28 |
[스크랩] 역대 대통령에게 소를 한마리씩 주웠더니... (0) | 2012.11.26 |
[스크랩] 김일병의 분풀이 (0) | 201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