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베트남어

[스크랩] 베트남어(Tieng Viet)

후쿠시아 2012. 12. 22. 21:38

 7음계로써 심금을 울리기도 하고 즐겁게도 하는 것이 음악의 마술이다.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어(聲調語)이다. 4성조를 가진 중국어보다 많은 변화를 가진 언어가 베트남어이다. 그러나 베트남어 역시 중국 한자에 어원을 두므로 한국인이 배우기에 어렵지 않다. 문법이 아주 쉬운 반면 성조어이기 때문에 발음이 힘든 편이다.

베트남은 23개의 기본 알파벳을 사용한다. F, J, W, Z를 사용하지 않고 đ를 추가로 사용한다. 모음은 기본 6개(A, E, I, O, U, Y)이며 추가로 6개(?, Â, Ê, Ô, O', U')를 더 쓴다. 모음 발음 중 Y와 I의 발음이 비슷하나 엄연히 다르다. A와 ?, E와 Ê, O와 Ô, O'와 U'도 발음이 비슷하나 서로 다르다. 자음은 단자음이 16개(B, C, D, đ, G, H, K,L, M, N, P, R, S, T, V, X) 복합자음이 11개(CH, GH, GI, KH, NG, NGH, NH, PH, QU, TH, TR)로 모두 27개이나 발음이 비슷한 것이 몇 개 중복되므로 27개 이하이다. 예를 들면 G, GH와 NG, NGH는 발음이 거의 비슷하다. 북부 지방에서는 D, GI, R을 거의 비슷하게 발음한다. 모음, 자음의 발음은 아래 표와 같다. 아래 표는 정확한 발음이 아니라 초보자들이 익히기 쉽도록 비슷한 발음을 적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모음>

모음

A

?

Â

E

Ê

I(Y)

O

Ô

O'

U

U'

발음

※주의: A는 '아'와 비슷하나 ?는 '아'보다 약간 짧은 음이다. Y는 '이'와 비슷하며 I는 짧게 발음한다. Ô는 '오'와 비슷하나 O는 Ô보다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한다.

<자음>

자음

B

C

CH

D

đ

G(GH)

GI

H

K

KH

L

M

N

발음

자음

NG(NGH)

NH

P

PH

QU

R

S

T

TH

TR

V

X

발음

※주의: D, GI, R, V는 남북부 발음이 서로 다르다. 위의 표는 북부발음. 남부발음은 D(둁), GI(둁), R(?), V(둁) 발음이 난다. TR 발음이 '뱁'임에 유의하자.

베트남 어는 성조어로 모두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콩꼬저우(Khong co dau: 아무런 표기없음 ), 저우싹(Dau sac:'), 저우후엔(Dau huyen:、), 저우호이(Dau hoi: ’), 저우응아(Dau nga:~), 저우낭(Dau nang: .)이다. 발음 방법은 아래 도표를 참조하라.

※주의: 평성발음 할 때 '파'나 '솔' 정도의 음에서 출발해서 음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저우낭을 발음 할 때 음을 시작과 동시에 뚝 떨어지는 음이 되어야 한다.

베트남어 단어들은 중국의 한자에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발음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단어들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발음은 비슷하나 성조를 반드시 익혀야만 한다. 영어같이 문법이 복잡하지 않고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달리 문법책이 필요없을 정도이다. 어순도 수식어, 소유격 등 몇 가지만 숙달되면 기본적인 문장은 쉽게 이야기할 수 있다. 다만 어려운 것은 발음과 철자는 같아도 성조가 틀린 단어들이 혼동될 때가 많아서 확실히 익혀야 한다. 또한 북부와 남부 지역은 발음상의 차이가 많다(남북부 언어차이 참조). 같은 언어라도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 따라서 사람의 성격, 성질의 차이를 엿볼 수가 있다. 조금은 딱딱하고 굳은 표정의 하노이 사람들. 메콩델타의 풍족한 자원 속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던 남부사람들의 여유롭고 웃는 얼굴들. 하노이 발음은 6성조가 정확하고 명확하며 사이공 발음은 유음 처리 부분이 많아 마치 음악을 듣는 듯하다. 

 

 

 욕, 감탄

 

 

 

 

 

욕은 몰라도 되나 완벽한 언어 구사력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표현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특히 욕은 내가 사용은 하지 않아도 남이 말할 때 이해할 정도의 수준은 되어야 한다. 그런 뜻에서 베트남에서 자주 사용되는 욕을 정리해본다. 욕은 가급적 알기만하고 사용하지는 않는 것이 가장 좋다. 욕을 크게 싸움할 때와 욕할 때로 구분했으며 욕은 아니지만 일상생활에 자주 쓰는 감탄문도 실었다.

1. 싸울 때

또짜마이(To cha may) : 시발X

To는 조상을 뜻하고 cha는 아버지를 뜻한다. May는 상대방을 낮춰 부르거나 무시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조상과 부모님을 욕하는 이 단어는 싸울 때 많이 사용한다.

도쪼(Do cho) < 쪼데(Cho de) : 개X

Do는 욕할 때 상대방을 지칭하는 말로 의미 없이 자주 사용된다. Cho는 '개'란 뜻이다. 한국이나 베트남이나 욕할 때 개를 애용하는 것 같다. '도쪼'는 욕의 정도가 약한 편이며 부모님이 자식을 꾸짖을때도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때는 Cho의 성조를 낮추어서 발음한다. 도쪼꼰(Do cho con)은 '이 놈무 자식아'란 뜻이다. 하지만 '쪼데'는 진짜 싸울 때 사용하며 매우 강한 어감을 갖는다.

2. 욕할 때

항라도멋자이(Han la do mat day) : 호로자식

Han의 상대방을 비하할 때 사용한다. Mat day는 가르침을 잃었다는 뜻이다. 즉 배우지 못했다는 뜻이다. '저 배우지 못한 놈'이라고 번역하면 무난하다. 주로 윗사람에 대해 예의가 없고 무례한 사람에 대해서 이런 말을 한다.

도디엔(Do dien) : 미친X

이상한 행동을 하거나 미친사람에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메끼엡(Me kiep) : 씨팔

Me는 '어머니'란 뜻이다. Kiep과 함께 쓰이면 'Son of a bitch'정도의 뜻이다. 다른 사람에게 하는 욕이라기보다 혼자서 욕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응우녀보(Ngu nhu bo) = 응우녀쪼(Ngu nhu cho) : 병신아

Ngu란 어리석다란 뜻이다. 직역하면 '소(개)같이 어리석다'란 뜻이다. 무식한 사람들에게 주로 사용하는 말이다.

3. 감탄

젯로이(Chet roi) / 젯짜로이(Chet cha roi) / 토이젯로이(Thoi chet roi) : 죽겠다

Chet은 '죽다'란 뜻이다. Cha는 아버지를 뜻한다. 직역하면 '아버지가 죽었네'란 뜻이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아고 죽겠다'란 감탄의 뜻이다. Cha 대신에 Me(어머니)나 Ba(할머니)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쩌이어이 (Troi oi)

'하늘이여'란 뜻이다. 하늘을 부를 일이 무엇이 있을까? '어이구 일을 어쩌나!' '그 참네' 등 다양한 표현에 사용된다.

 

 

 

 여행 베트남어(Tieng Viet cho Du lich)

 

 

 

 

 

베트남을 여행하는 대부분의 여행객들은 베트남어를 모른다. 다행히 영어를 구사할 줄 알아도 베트남 현지인들이 대부분 영어를 모르기 때문에 물건을 살때나 흥정할 때, 길을 물을 때 등 여러 가지 경우 어려움을 격는다. 그리고 사가지고 간 여행책자를 참조하거나 기본회화책을 보아도 너무 내용이 많고 또 실제 사용해봐도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지 못할 때가 대부분이다. 여기서는 여행에 필수적인 베트남어를 아주 짧고 명확한 구어체로 단 한 가지 예만을 적어본다. 아래 내용만 외워도 베트남 여행하는데 그리 어려움이 없으리라 확신한다. 다만 베트남어가 성조가 있기 때문에 성조없이 이야기하면 부정확하나 베트남인들이 대강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이라 본다.

1. 가격 묻고 흥정하기

숫자 : 1(못), 2(하이), 3(바), 4(본), 5(남), 6(사우), 7(바이), 8(땀), 9(찐), 10(므으이),

100(짬), 1000(응안), 10,000(므으이 응안 or 못쭉) - 필히 암기

⊙ 얼마입니까? 바우 니-우(Bao nhieu)? ⊙ 비싸다 닷 꽈(Dat qua)

⊙ 깍을 수 있습니까? 벗 드윽 콩(Vat duoc khong)? ⊙ Yes 드윽(Duoc) No 콩(Khong)

우리나라 100원이 베트남 돈 1000동 정도임을 항상 기억하고 물건을 구매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1-10까지 숫자, 백, 천만 알면 베트남 여행이 즐거워 질 것이다. 그러면 베트남 화폐를 읽어보고 어느 정도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자(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외국인임을 고려, 중간치 물가로 잡아서 적어보았다).

오백(동) : 남짬(남-5, 짬-100 / 거지에게 동냥줄 때, 우리나라 50원 가치로 생각)

천(동) : 응안(삶은 달걀 한 개, 자전거 주차비, 택시기사 팁, 자전거 바람넣는 비용)

2천(동) : 하이응안(하이-2, 응안-천/ 바나나 작은 송이, 오토바이 주차비, 200ml우유)

5천(동) : 남응안(남-5/ 커피 한두잔, 씨클로 15분 이용료, 퍼 한 그릇, 캔 콜라)

만(동) : 므으이응안, 못쭉(므으이-10, 못-1, 쭉-만동/ 택시 기본료(6천∼14,000), 시내 세옴요금)

2만(동) : 하이므으이응안, 하이쭉(하이-2/ 베트남식 한끼 식사, 1시간 포갯볼비)

5만(동) : 남므으이응안, 남쭉(남-5/ 한국식 한끼 식사, 좋은 까페 맥주 한 병, 여자들 팁)

<연습> 하이 므으이 남→ 2만 5천동 / 므으이 본→ 만 4천동 / 바 쭉→ 3만동 / 못 짬 응안→ 10만동 / 바이 응안 르으이→7천 5백동(르으이는 앞 단위의 절반을 뜻함. 즉 응안의 반은 500동임)

2. 묻기

⊙ ∼가 어디입니까? ∼ 어 더우(∼ o dau)? (예) 썬바이 어 더우? (공항이 어디입니까?)

∼ : 공항(썬바이), **호텔(칵산**), 하이바쯩 길(드응 하이바쯩), 은행(년항), 식당(냐항), 시장(), 우체국(브디엔), 병원(벤비엔), 사이공역(사이공), **박물관(바오땅**)

어떻게 하든지 물을 수 있으면 현지인들이 손짓으로라도 방향이나 길을 가르쳐 주기 때문에 묻는 방법만 알아두면 된다.

3. 기본회화

⊙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씬 짜오(Xin chao) → 두 뜻 모두 가능

⊙ 미안합니다 씬 로이(Xin loi) ⊙ 감사합니다 깜언(Cam on)

⊙ 맛있습니다 응온 람(Ngon lam) : Ngon은 맛있다, lam은 매우란 뜻으로 응온대신에 '틱'을 사용하면 '좋아하다'뜻 (예) 예쁘다(), 재미있다(하이), 멀다(), 피곤하다(), 크다()

⊙ 없습니다, 끝났습니다, 다 팔렸습니다 헷 로이(Het roi)

 

 

 한국인이 알고 있는 베트남

 

 

 

 

 

1. 따이한→다이한(Dai Han: 大韓)→한궉(Han Quoc: 韓國)

베트남 여행 정보책에 보면 '따이한'이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이는 잘못된 발음으로 '다이한'이라고 표기해야 옳바른 표현이다. 1992년 국교정상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한국'을 '다이한'으로 불렀다. 특히 월남인들의 머리 속에는 월남전 때 참전한 한국군인들에 대한 기억이 잊혀지지 않고 있다. 한국군이 주둔했던 다낭(Da Nang), 퀴년(Quy Nhon), 나짱(Nha Trang)에는 많은 라이다이한(Lai Dai Han)이라 불리는 한국인 2세들이 태어나게 되었다. 국교정상화 이후 베트남에서 한국 공식 명칭을 한궉(Han Quoc:韓國)으로 부르게 되었다. TV, 신문등 공식매체에서는 '한궉'으로 불리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다이한'이라 부르는 게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한국의 분단으로 남한, 북한을 다르게 불리었다. 남한은 남찌에우띠엔(Nam Trieu Tien), 북한은 박찌에우띠엔(Bac Trieu Tien)으로 불리었다. 그러나 '남찌에우띠엔'을 한국으로 부르듯이 북한의 공식명칭은 전주년전찌에우띠엔(Dan chu Nhan dan Trieu Tien)이다.

구찌터널 입구2. 구찌터널(Dia dao Cu Chi)

80년대 TV 외화 중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전쟁영화 '머나먼 정글'을 아직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울창한 밀림 속에서 쏟아지는 비를 맞으며 정의를 위해 싸우는 미군(?)의 활약상. 월남전 이후 수 없이 많은 영화가 베트남전을 소재로 해서 만들어졌다. 하나같이 밀림을 헤치며 월맹군과 싸우는 모습들이다. 밀림의 모습을 상상하며 하노이에 도착하면 실망이 클 것이다. 베트남 중북부지방에는 밀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월남전에 등잔하는 밀림은 사이공 이남 메콩델타 지역이다. 땅굴로 유명한 구찌(Cu Chi)도 사이공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구찌터널의 총 연장은 250Km이며 지하 3층으로 땅굴을 뚫었다. 대불항쟁 때부터 베트남 민족주의자들의 비밀 아지트로 이용되었으며 월남전 당시 대미 투쟁의 본거지로 이용되었다. 터널 속에 병원, 회의실, 식당 등이 만들어져 있다. 월남전 때 미군이 이 곳에 무차별 폭격과 고엽제로 초토화 시켰으나 결국 점령에 실패하였다. 구찌를 여행하면 당시 월맹군이 사용하던 무기들을 볼 수 있으며 직접 터널을 들어가 볼 수가 있다. 관광객을 위한 짧은 터널이지만 적막한 어두움과 숨이 막히는 더위.. 이곳에서 미군과 싸운 월맹군들이 얼마나 대단한 지 새삼 느끼게된다.

3. 베트꽁→비엣꽁(Viet cong)→비엣민(Viet minh)

80년대 어린시절을 보낸 사람들은 '꽁꽁 베트꽁'이란 말을 자주 들어보았을 것이다. 공산주의의 월맹군을 무시하고 낮춰부르는 말로 비엣꽁(Viet cong)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한국에서는 '비엣꽁'이 아니라 '베트꽁'으로 발음이 바뀌게 되었다. 원래 월맹군은 비엣민(Viet minh)으로 불리었다. '비엣민'의 역사는 1941년부터 시작된다. 오랜 망명생활을 마치고 베트남에 돌아온 호치민이 '비엣민'이란 유격대를 창설한다. 이 유격대는 일본과 프랑스 제국주의에 대항한다. 결국 1945년 일본이 물러나고 1954년 프랑스도 디엔비엔푸전투의 패배로 물러나게 된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비엣민'은 공산주의 팽창을 우려하던 미국과 월남전을 치르게 된다(18세기 이후 베트남 역사편 참조). 월맹군을 비하하는 '베트콩'이란 말보다 '비엣민'이란 정식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베트남인들을 존중하는 표현이다.

4. 나트랑→나짱(Nha Trang), 안케(An Khe)

나트랑은 나짱(Nha Trang)의 영어식 발음이다. 나트랑은 베트남 중남부 해변관광도시이다. 아름다운 백사장과 야자수 나무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나짱은 월남전 당시 한국군 야전사령부와 십자성부대가 주둔했던 곳이다. 30Km떨어진 닌호아(Ninh Hoa)에는 백마부대의 자취를 찾을 수 있다. 나짱에서 북으로 250Km 지점에 퀴년(Quy Nhon)이란 도시가 있다. 퀴년에는 맹호부대의 자취를 찾아 볼 수 있다. 시내 한 가운대 팔각정은 아직도 건재하고 있다. 월남전 당시 한국군의 최대 격전지인 안케(An Khe)는 퀴년에서 서쪽으로 80Km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안케 전승비와 추모비 등이 쓸쓸히 남아있다(한국사람 베트남가기-김재민著 참조). 한가지 반가운 소식은 나짱의 쩐푸거리 아리랑식당 주인과 안케의 식목(植木) 사업가가 월남전 때 결혼한 현지 부인과 몇 년 전부터 현지(나짱, 안케)에 돌아와 단란한 가정을 이루며 살고있다.

5. 월남치마(Vay dai)

70년대 말 월남치마가 한국에서 한창 인기가 있었다. 얇은 천에 긴 월남치마는 주부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현재 베트남 여인들은 치마를 그렇게 즐기지는 않는다. 주로 얇은 천으로 만든 바지를 집에서 즐겨입는다. 농사를 짓는 아낙네는 검고 질긴 천으로 바지를 만들어 입는다. 베트남 전통 의상인 아오자이도 치마가 아니고 바지이다. 가장 현대화된 사이공은 짧은 미니 스커트를 입은 여성들이 자주 눈에 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오토바이로 이동하므로 치마보다는 바지를 즐겨입는편이다. 한국에서 유행했던 월남치마는 베트남에서 찾아볼 수 없는 치마가 되었다. 

출처 : 동남아 국가의 무역 카페
글쓴이 : jame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