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에 따라 변화무쌍한 화장품들을 하나하나 장만하고 나면 어느새 언제 산지도 모르는 병들이 소복한 내 화장대를 발견할 수 있다. 이 화장품을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 고민하는 사이 시간은 흘러가고 피부에 직접 닿고 스미는 만큼 관리가 철저하게 관리해야 하는 화장품의 유통기한에 가까워져 간다. 오래된 로션, 깨진 파우더는 다 버려야 할까? 그렇지 않다. 이들의 숨겨져 있는 사용법을 제대로 알면 다시 보게 될 것이다.
화장품의 유통기한 제대로 알고 있나?
언제까지 쓰면 좋은지 화장품의 유통기한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먼저 점검하자. 아직 쓸 수 있는 화장품을 버리게 될지 모르니 말이다. 기본적으로 개봉하지 않은 화장품은 3년간은 보관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단 뚜껑을 열게 되면 그 기한은 순식간에 짧아진다. 마스크팩은 즉시 사용하지 않으면 다 말라버리게 되고 에센스, 크림, 세럼은 기간이 6개월로 짧아진다. 그나마 팩트와 같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품은 1~3년 간 사용이 가능하다. 기초화장품은 6개월 정도,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가루 화장품은 개봉하더라도 약 3년, 수분을 포함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와 같은 색조 화장품은 약 1년 정도로 기억하면 된다.
버려야 할지 고민 되는 화장품들을 어떻게 사용할까?
6개월에서 1년 사이 모두 쓰는 것이 좋은 화장품의 유통기한을 넘겨버렸다면 이를 다른 방법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보자.
로션은 훌륭한 각질 제거제가 될 수 있다. 피부에 충분히 스미도록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닦아 낼 것이기에 유통기한이 조금 지나더라도 각질 제거제로 활용하면 된다. 사용하기 전 곡물가루나 흑설탕과 같은 고운 가루를 로션에 충분히 섞어 피부에 문질러주면 부드럽게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오래되어 피부에 사용하기가 찜찜한 로션이라면 이보다는 가구 광택제로 활용하면 좋다. 마른 걸레에 로션을 살짝 묻혀 가구를 닦아주면 윤기가 흐를 것이다.
유행이 지나버린 립스틱은 컬러를 바꿔보자. 1년 가까이 사용할 수 있는 립스틱의 컬러가 유행이 지나버려 사용이 곤란하다고 그냥 두면 1년을 그냥 묵혔다가 버리기 십상이다. 그럴 때는 드라이기를 활용해 열을 가해 살짝 립스틱을 녹여 다른 컬러와 섞어 컬러를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너무 오래되어 입술에 바르기가 어렵다면 이는 실버 악세서리를 세척하는 데에 써도 좋다.
깨져버린 파우더나 블러셔는 어떻게 할까?
유통기한에 관계 없이 깨져버려 가루로 흩어져버린 파우더나 블러셔, 섀도우는 쓰레기통으로 직행하기 쉽다. 아까운 이 화장품들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먼저 다시 고운 표면을 자랑하는 파우더로 다시 복구하는 방법이 있다. 깨져버린 파우더를 아예 고운 입자로 부순 다음 소독용 에탄올을 사용해 반죽하듯이 섞어 다시 굳히는 것이다. 그리고 타월로 에탄올을 흡수시켜 말려주면 된다. 잘 눌러서 압축 후 건조하면 새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 펄감이 있는 섀도우는 고운 입자로 잘게 부수어 파우더나 파운데이션에 섞어 펄 파우더나, 파운데이션, 혹은 하이라이터처럼 활용해도 좋다. 물론 화이트컬러에 가까울수록 활용이 용이하다.
아까워서 버리지도 못하고 화장대만 차지하고 있던 화장품을 다시 한번 점검해보자.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생활상식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료, 양육수당~ 어떻게 지원받나요? (0) | 2013.02.04 |
---|---|
결혼 전 꼭 해야 할 일 4가지 (0) | 2013.02.01 |
국민연금 가입자들 문의 쇄도.....왜? (0) | 2013.02.01 |
황차의 효능 및 종류 (0) | 2013.01.31 |
茶 Tea Story: 황차 만들기 (0) | 201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