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안지 작성 원칙
답안지를 작성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1) 서론 부분에서 논술할 방향을 명확하게 드러나게 제시한다.
서론 부분에서 논술할 핵심 방향을 명료하게 드러냄으로서 논술의 방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2) 주제에 맞게 일관된 논의로 논술해나가야 한다.
자신이 글을 쓰는 방향을 명확하게 인식하여 서론 -본론- 결론이 구슬을 꿰듯이 일관되게 글의 중심을 잡고 논술해야한다.
(3) 글씨를 깨끗하고 분명하게 써야한다.
글씨를 잘 쓰면 좋고 못쓰더라도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게 받침 하나라도 또박또박 써야한다.
펜은 검은색 펜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고 틀리면 원고지 수정 방법에 맞게 고친다.
(4) 명확한 표현을 써야한다.
“그런 것 같다” “그럴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 한다” 등의 얼버무리는 표현으로 자신이 주장을 회피하는 식의 논술은
감점해 달라는 소원을 표현한 것으로 보면 된다. 이러한 표현은 자신의 분명한 주장을 보여줄 수 없다.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하고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논술의 기본중의 기본이다.
(5)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장황하게 설명하지 말아야한다.
매스컴에서 너무 많이 드러난 사건이나 사고를 자세하게 설명한다든지, 일반화된 사실을 길게 설명하는 것은
논술을 가볍게 보일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차별화 할 수 있는 시간과 지면을 낭비하게 된다.
(6). 지면 배분을 적절하게 한다.
서론, 본론, 결론 부분 중 한 부분이 지나치게 길다든지 혹은 짧으면 전체적인 글의 균형이 깨져버린다.
서론-15% 내외, 본론-70% 내외, 결론-15% 내외 정도의 양으로 지면을 분배하면 적당하다.
(7) 전체적인 줄거리를 먼저 작성하고(개요 작성) 글을 써나간다.
주어진 논술 문제지의 여백에 전체적인 글의 핵심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여기에 살을 붙이는 식으로 글을 작성한다.
(8) 시간 배분을 적절하게 한다.
처음에는 아주 침착하게 주어진 문제가 요구하는 답의 방향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아야한다.
따라서 서론 부분에서 논술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펜부터 잡을 것이 아니라 문제가 요구하는 답의 방향을 명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이 10-15분정도를 할애한다. 일단 논의 방향이 정해지면 개요 작성 시간과 서론, 본론, 결론의 작성 및 검토의
시간 분배를 적절하게 하여 완성된 논술이 나오도록 한다.
(9) 문장을 너무 길게 쓰지 않는다.
문장을 너무 길게 쓰면 말하고자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드러나지 못하기 때문에 주장이 약해질 수 있다.
(10) 출제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지킨다.
논술문을 작성할 때 출제가가 요구하는 글자 수나 원고지 사용법 등 답안 작성할 때 유의 사항을 최대한 지키는 것이 좋다.
출제자가 요구하는 조건을 지키지 못하면 감점 규정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1) 그밖에 고려되어야 할 것들을 지킨다.
좋은 논술문을 작성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세부적인 글쓰기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어감의 작은 차이라도 고려해서 정확하게 사용한다.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보다는 참신한 언어를 사용한다.
- 주장하는 글이므로 높임말로 쓰지 않는다.
- 문장을 감탄형으로 끝맺어서는 안 된다.(예: 국민으로서 그럴 수가 있는가!)
- 말줄임표를 써서 여운을 남기면 안 된다.(예: 어떻게 그럴 수가.....)
- 문장의 접속어를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 생략과 변화를 적절하게 사용한다.
- 문장의 순서를 도치시키지 않는다.
- 넉자로 이루어진 한자 성어를 습관적으로 쓰지 않는다.
- 말만 바꾼 반복된 문장을 쓰지 않도록 유의한다.
- 선입견이 내포된 문장이나 감정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예: 이따위 꼬락서니, 그런 주제에, 그따위로 박박 대드는 행위는,
일개, 눈곱만큼도 가치조차 없는, 그렇게 훌륭한 사고방식은, 천재적 판단력으로, 등의 용어에는 이미 ‘나쁘다' 또는 ‘좋다'는 의미의 가치 판단이 포함되어있다.)
- 명료하고 깨끗한 문장을 쓰도록 노력한다.
- 이중의 의미를 가진 문장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 감정에 빠지지 말고 이성적이면서 분명한 주장을 담는다.
- 이중 부정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아니하지 않는다)
'생활상식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육심리학 용어 (0) | 2013.04.13 |
---|---|
[스크랩] 마음의 움직임이 없이 바라보기만 할 수 있어요? - 크리슈나무르티 (0) | 2013.04.12 |
[스크랩] 스웨덴의 국회의원 그리고 대한민국 (0) | 2013.04.04 |
[스크랩] 성공의 법칙 (0) | 2013.03.26 |
[스크랩] 인맥관리 10계명 (0) | 201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