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국가명 및 표준시 지도 Standard Time Zones of the World
세계를 여행하다보니 여러나라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여러 국적의 배낭객들이 한팀이 되어 트레킹을 하거나 투어를 할 때도 종종 있었다.
그러다보니 의사소통을 하려면 어느나라에서 왔던 다들 자연스레 영어로 말하게 된다.
독일이나 네덜란드 출신은 딱히 말안하면 영어권 국가 출신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경우도 많지만,
눈 파랗고 금발이라고 다 영어를 잘 하는 것은 아니었다.
동유럽 이름 모를 나라에서 왔던 여인들은 영어가 거의 안되었고, 프랑스인들은 영어를 곧 잘 하긴 하지만,
특유의 프랑스 억양이 들어가 있어서 나름 듣고 있으면 재밌다.
어쨌든, 첨 만나면 국적을 많이 물어보게 되는데, 가끔 어떤 나라는 국적을 어떻게 말하는지 헷갈릴때가 있다.
심지어 영국 출신에게 물어봤는데..대답은 자기도 모르겠단다...음..영쿡사람 맞어?
하지만 실제로 익숙치 않은 나라들은 당연히 그들도 헷갈릴 수 밖에..그 나람 이름을 처음 들었는데, 그 국적명을 어떻게 알까?
또 호기심 발동..열심히 인터넷 뒤져서 국적명을 정리해봤다.
영어로 국적명은 'Demonym'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그 국가명의 형용사꼴과 같지만 [Korea-Korean(형)- a Korean(국적)]
아닌 경우가 가끔 있으니 참조하자.
예를 들어, 형용사로 물으면 Are you French? 국적명으로 물으면 Are you a Frenchman? 이렇게 된다.
아, 그리고 위 지도 타임존을 보면 중국은 그 넓은 국가 전체를 하나의 시간대로 통일하고 있다.
즉, 중국 동쪽끝과 서쪽끝의 시간이 같다..그럼 서쪽끝은 점심때쯤 해뜨는 것 아닌가?
Country 국가 | Demonym 국적 |
Afghanistan | Afghan |
Albania | Albanian |
Algeria | Algerian |
Andorra | Andorrans |
Angola | Angolan |
Antigua and Barbuda | Antiguan, Barbudan |
Argentina | Argentine or Argentinean |
Armenia | Armenian |
Australia | Australian or Ozzie or Aussie(오른쪽 2개는 구어체 표기) |
Austria | Austrian |
Azerbaijan | Azerbaijani (국가명이 N으로 끝나는 나라는 대부분 i를 붙혀서 만든다.) |
The Bahamas | Bahamian (주로 섬이나 연방으로 된 국가들은 공식 국가명에 The를 붙힌다.) |
Bahrain | Bahraini |
Bangladesh | Bangladeshi |
Barbados | Barbadian or Bajun |
Belarus | Belarusian |
Belgium | Belgian |
Belize | Belizean |
Benin | Beninese (~ese로 끝나는 경우, 단,복수 형태가 같다) |
Bhutan | Bhutanese |
Bolivia | Bolivian |
Bosnia and Herzegovina | Bosnian, Herzegovinian |
Botswana | Motswana (singular), Batswana (plural) 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인데 단수 표기 참조 |
Brazil | Brazilian |
Brunei | Bruneian |
Bulgaria | Bulgarian |
Burkina Faso | Burkinabe (역시 아프리카 국가, 현지 언어를 영어화해서 일반 규칙 변형과 다르다.) |
Burundi | Burundian |
Cambodia | Cambodian |
Cameroon | Cameroonian |
Canada | Canadian (미쿡애들은 '크네이디은' 이렇게 발음했음) |
Cape Verde | Cape Verdian or Cape Verdean(아프리카 국가, 포르투갈 식민지로 현지 발음은'카보베르데') |
Central African Republic | Central African |
Chad | Chadian |
Chile | Chilean (칠리, 칠리은) |
China | Chinese |
Colombia | Colombian |
Comoros | Comoran |
Congo, Republic of the | Congolese |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the | Congolese |
Costa Rica | Costa Rican |
Cote d'Ivoire | Ivorian |
Croatia | Croat or Croatian |
Cuba | Cuban |
Cyprus | Cypriot (키프로스, 영어발음은 각각 싸이프뤄스, 씨프뤼엇 이렇게 들린다.) |
Czech Republic | Czech |
Denmark | Dane or Danish |
Djibouti | Djibouti |
Dominica | Dominican |
Dominican Republic | Dominican |
East Timor | East Timorese |
Ecuador | Ecuadorean |
Egypt | Egyptian (이집션) |
El Salvador | Salvadoran |
Equatorial Guinea | Equatorial Guinean or Equatoguinean |
Eritrea | Eritrean |
Estonia | Estonian |
Ethiopia | Ethiopian |
Fiji | Fijian |
Finland | Finn or Finnish |
France | French or Frenchman or Frenchwoman |
Gabon | Gabonese |
The Gambia | Gambian |
Georgia | Georgian |
Germany | German |
Ghana | Ghanaian |
Greece | Greek |
Grenada | Grenadian or Grenadan |
Guatemala | Guatemalan |
Guinea | Guinean |
Guinea-Bissau | Guinea-Bissauan |
Guyana | Guyanese |
Haiti | Haitian |
Honduras | Honduran |
Hungary | Hungarian |
Iceland | Icelander |
India | Indian |
Indonesia | Indonesian |
Iran | Iranian (이뢔이니은) |
Iraq | Iraqi (이뢔퀴) |
Ireland | Irishman or Irishwoman or Irish |
Israel | Israeli (이즈뤼을, 이즈뢜리 처럼 발음됨) |
Italy | Italian |
Jamaica | Jamaican |
Japan | Japanese |
Jordan | Jordanian (죠ㄹ든, 죠데이니은) |
Kazakhstan | Kazakhstani |
Kenya | Kenyan |
Kiribati | I-Kiribati (남태평양 국가로 현지 발음은 키리바시, 영어발음은 키뤼바리로 국적표기가 색다르다.) |
Korea, North | North Korean |
Korea, South | South Korean |
Kuwait | Kuwaiti |
Kyrgyz Republic | Kyrgyz or Kirghiz |
Laos | Lao or Laotian |
Latvia | Latvian |
Lebanon | Lebanese |
Lesotho | Mosotho (plural Basotho) |
Liberia | Liberian |
Libya | Libyan |
Liechtenstein | Liechtensteiner |
Lithuania | Lithuanian |
Luxembourg | Luxembourger |
Macedonia | Macedonian |
Madagascar | Malagasy |
Malawi | Malawian |
Malaysia | Malaysian |
Maldives | Maldivan |
Mali | Malian |
Malta | Maltese |
Marshall Islands | Marshallese |
Mauritania | Mauritanian |
Mauritius | Mauritian |
Mexico | Mexican (영어로는 '멕시코'이지만 현지인은 '메히코'라고 발음했음) |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Micronesian |
Moldova | Moldovan |
Monaco | Monegasque or Monacan |
Mongolia | Mongolian |
Morocco | Moroccan |
Mozambique | Mozambican |
Myanmar (Burma) | Burmese or Myanmarese (버마가 미얀마로 국명을 바꾸었지만 여전히 '버미즈'라고 많이 함) |
Namibia | Namibian |
Nauru | Nauruan |
Nepal | Nepalese |
the Netherlands |
Netherlander, Dutchman, Dutchwoman, Hollander or Dutch (collective) 공식명칭은 네덜란드이지만, 주로 네덜란드인은 Dutch라고 하고, 네덜란드에서 가장 넓고 중심이 되는 지역이 홀랜드 지역이라 Halland라고도 많이 함. 이 발음을 중국이 음차하고, 우리식 표기로 한 것이'화란'임 |
New Zealand |
New Zealander or Kiwi 뉴질랜드에만 있는 키위라는 새때문에 뉴질랜드 사람을 '키위'라고 한다는데, 이때문에 과일키위와 헷갈림을 방지하려고 뉴질랜드에서는 먹는 과일은 kiwifruit라고 함. 또하나 이 키위는 원래 중국이 원산지인데, 뉴질랜드에서 개량되어 퍼져나갔고, 과일키위랑 키위 새랑 생긴게 비슷해서 이름도 그렇게 된듯..우리나라 키위는 '참다래' |
Nicaragua | Nicaraguan |
Niger | Nigerien |
Nigeria | Nigerian |
Norway | Norwegian |
Oman | Omani |
Pakistan | Pakistani |
Palau | Palauan |
Panama | Panamanian |
Papua New Guinea | Papua New Guinean |
Paraguay | Paraguayan |
Peru | Peruvian (영어식 발음은 각각 '퍼루, 프루비은' 이렇게 들림) |
The Philippines | Filipino(여성은 Fillipina, 스페인의 식민지였기에 스페니쉬가 그대로 영어화되고, Pinoy라고도 했음) |
Poland | Pole or Polish |
Portugal | Portuguese |
Qatar | Qatari |
Romania | Romanian |
Russia | Russian |
Rwanda | Rwandan |
Saint Kitts and Nevis | Kittian and Nevisian |
Saint Lucia | Saint Lucian |
Samoa | Samoan |
San Marino | Sammarinese or San Marinese |
Sao Tome and Principe | Sao Tomean |
Saudi Arabia | Saudi or Saudi Arabian |
Senegal | Senegalese |
Serbia and Montenegro | Serbian or Montenegrin |
Seychelles | Seychellois |
Sierra Leone | Sierra Leonean |
Singapore | Singaporean |
Slovakia | Slovak or Slovakian |
Slovenia | Slovene or Slovenian |
Solomon Islands | Solomon Islander |
Somalia | Somali |
South Africa | South African |
Spain | Spaniard or Spanish |
Sri Lanka | Sri Lankan |
Sudan | Sudanese |
Suriname | Surinamer |
Swaziland | Swazi |
Sweden | Swede or Swedish |
Switzerland |
Swiss (스위스의 국명은 스위츨랜드이고, 스위스는 사람을 가리키고, 여러언어(독일어, 영어 등)가 국어로 채택되어 있기때문에 스위스어는 따로 없음) |
Syria | Syrian |
Taiwan | Taiwanese (타이완은 대만이고, 수도는 타이페이(Taipei), 태국(Thailand)과 헷갈리는 외국인들 무지 많았음) |
Tajikistan | Tajik or Tadzhik |
Tanzania | Tanzanian |
Thailand | Thai |
Togo | Togolese |
Tonga | Tongan |
Trinidad and Tobago | Trinidadian or Tobagonian |
Tunisia | Tunisian |
Turkey | Turk or Turkish |
Turkmenistan | Turkmen(s) |
Tuvalu | Tuvaluan |
Uganda | Ugandan |
Ukraine | Ukrainian |
The United Arab Emirates | Emirian |
The United Kingdom |
Briton or British (collective) (or Englishman or Englishwoman) (or Scot or Scotsman or Scotswoman) (or Welshman or Welshwoman) (or Northern Irishman or Northern Irishwoman or Irish [collective] or Northern Irish [collective]) 영국은 England, Scotland, Wales, Northern Ireland 이 4개국이 합쳐서 된 나라이므로, 각 지역별로 호칭이 다름, 특히 스코틀랜드 사람은 Scot이고, 스카치(Scotch)가 아님. 영국섬 이름이 'Britain'이기 때문에 확실히 모를때는 English보다 British라고 하는게 나음. 가끔 UK에서 왔다고 하길래, 당연히 잉글리쉬라고 생각했는데, 기분나빠하는 경우도 있었음. 자기는 잉글리쉬 아니라고.. 여행중 아이뤼쉬를 만난적이 있는데, 확실히 분위기도 다르고 무엇보다 영어발음이 무지 다름. |
The United States | American ('어메뤼큰'으로 발음해 주는 센스, 그리고 미국어는 English임.) |
Uruguay | Uruguayan |
Uzbekistan | Uzbek or Uzbekistani |
Vanuatu | Ni-Vanuatu (남태평양의 섬국가, 역시 현지언어를 살려 영어화 되었음) |
The Vatican City State (The Holy See) |
none (바티칸 시티는 따로 국적명이 없음, 다들 신부님 수녀님이라고 불러서 그런가?) |
Venezuela | Venezuelan |
Vietnam | Vietnamese (뷔엣남, 뷔엣나미즈 처럼 발음됨) |
Yemen | Yemeni or Yemenite |
Zambia | Zambian |
Zimbabwe | Zimbabwean |
'외국어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와 '에게'의 쓰임 (0) | 2013.05.09 |
---|---|
의존 명사 '중'의 띄어쓰기 (0) | 2013.05.04 |
'귀국'과 '입국'의 차이 (0) | 2013.04.28 |
전화번호 '-'기호 한글 표기 (0) | 2013.04.28 |
'치다'의 뜻 (0) | 201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