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비타민(Vitamin)
1) 비타민이란?
대부분의 동물이 음식물을 통해 어느 정도의 적은 양은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유기화합물. 특히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데 조효소와 조효소의 전구물질로 작용한다. 대량영양소(단백질·탄수화물·지방)와는 달리 에너지를 내거나 신체 구성물질로 작용하지 않는다.
1910년 영국의 홉킨즈 박사에 의해 비타민 A가 질병을 치유한다는 사실 규명으로부터 시작, 1911년 폴란드의 화학자 카시미르 풍크는 현미에 있는 각기병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성분이 아민(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임을 밝혔으며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아민( vital amine)이라는 뜻으로 비타민(Vitamone) 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 비타민은 체내에서 극히 적은 양이 필요하지만 생리작용 조절과 성장유지를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영양소이다.
2) 비타민의 종류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C)과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D·E·K)으로 분류
○ 수용성 비타민 : 장에서 물과 함께 흡수되어 순환계를 통해 비타민이 사용되는 특 정한 세포 조직으로 운반된다.
○ 지용성 비타민 : 지질을 포함한 식품과 같이 섭취되어 담즘산염에 의해 유화되어 소장의 상피세포를 통해 흡수되며, 림프계는 흡수한 비타민을 신체의 각 부위로 전달한다. 인체는 수용성 비타민보다 지용성 비타민을 다 많이 저장하고 있다. 비티민 A와 D는 주로 간에 저장되고 비타민 E는 체지방과 생식기관에 약간 저장된다. 비타민 K는 비교적 미량만 저장된다. 지용성 비타민은 각각 다른 기능을 한다. 비타민 A는 눈의 망막에서 단백질과 결합하여 야맹증을 막아주고 비타민 D는 유기체의 성장, 특히 뼈의 발육과 관련된 칼슘과 대사에 필수적이다. 비타민 E는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결핍되면 불임증에 걸린다. 비타민 K는 혈액을 응고시키는 효소과정에 참여한다.
3) 지용성 비타민
a. 비타민 A(retinol, retinal, retinoic acid)
레티놀 :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고 체내에서 비타민A 활성
프로비타민A(전구체) :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 (일부만 레티놀
로 전환)
상피세포의 건강유지 : 피부와 안구의 건조 방지
성장과 발육 촉진: 부족 시 뼈의 성장 저하, 중추 신경계 손상
정상적인 시력 유지 : 야맹증
정상적인 생식 기능
함유식품 : 간, 어유, 난황, 버터, 당근, 시금치, 토마토, 호박 등
b. 비타민D(calcitriol)
음식뿐만 아니라 태양 광선을 충분히 쬐면 비타민D 합성
버섯을 말리면 엘고스테롤이라는 프로 비타민D가 비타민D로 전환
일광욕을 하면 피하조직에 있는 프로비타민D가 비타민D로 전환
골격의 석회화와 Ca 흡수 촉진
뼈의 정상 유지: 부족시 구루병 발병
함유식품 : 어유, 난황, 버터, 효모, 버섯에 프로비타민D(ergosterol ) 있음
c. 비타민E (tocopherol)
현재 8종류의 tocopherol이 알려졌고 그중 -tocopherol이 가장 활성이 크다.
항산화제 역할: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방지
세포막의 손상을 방지
세포의 노화를 촉진 시키는 과산화 지질(지방산과 산소의 결합물)의 생성억제
ㅡ> 노화방지 생식 기능 정상유지 ㅡ> 유산, 불임 예방
함유식품 : 배아, 종실유, 식물성 기름, 마가린, 견과류 등
d. 비타민K
장내에서 합성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의 전구체인 프로트롬빈이 체내에서 합성되는
과정에 비타민 K가 조효소로 관여
결핍시 혈액응고 소요시간 연장
함유식품 : 시금치, 양배추, 브로콜리, 파슬리 등
4) 수용성 비타민
탄수화물 대사의 조효소로서 작용
부족시 포도당이 완전 분해되지 못해 피로, 식욕감퇴, 무기력 증상
결핍증 : 각기병
함유식품 : 두류, 배아, 돼지고기 등(돼지고기 속의 비타민 B1을 오래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 마늘이다)
b. 비타민 B2(roboflavin)
인과 결합하여 3대 영양소의 대사에 조효소로 관여
부족 시 체내 영양소의 산화 과정에 영향을 받음
결핍증상 : 성장 부진, 구순구각염
함유식품 : 우유, 유제품, 달걀, 육류 등
c. 나이아신(niacin)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 시키는 보조 효소
트립토판 60mg은 체내에서 나이아신 1mg으로 전환
결핍증 : 펠라그라, 설사
함유식품 : 효모, 가금류, 콩류, 우유 등
d. 비타민 B6(pyridoxine)
아미노산 대사와 단백질 합성의 조효소 작용
헤모글로빈 구성 성분의 헴 합성에 관여
입덧, 멀미, 구토 증상 치료에 효과
함유식품 : 쇠간 익힌 것, 바나나, 어육류, 계란 등
e. 엽산( folic acid, folate)
핵산 DNA 합성에 조효소로 필요
조혈작용 : 비타민B12와 같이 골수에서 적혈구 형성
비타민B12와 같이 새포 분열에 필요
결핍증상 : 거대 적혈구성 빈혈. 설염, 설사 증세
함유식품 : 시금치, 근대, 상추, 브로콜리 등 푸른색 채소 등
f. 비타민 B12(cobalamin)
메티오닌 합성
중추신경에 관여
결핍 증상 : 악성 빈혈, 신경기능 장애
주로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여 채식 주의자에게 부족 함.
장내에서 합성 가능하나 필요량에 비해 부족함
함유식품 : 쇠간 익힌 것, 대합조개, 완두콩, 복숭아 등
g. 비타민 C(ascorbic acid)
항산화 기능, 콜라겐 합성, 철분흡수 촉진, 항암역할
결핍증 : 괴혈병, 감염성 질환
신선한 과일, 채소 등.
1일 비타민 권장량 100mg, 식품으로 250mg 정도 섭취할 것,
비타민 C의 1일 최대 섭취량은 2g을 넘지 않아야 한다(수산 결석을 만든다).
보충제로서의 과잉 섭취할 경우 해롭다.
붉은 파망(중간 1개) : 141mg, 오렌지 쥬스 한컵 : 124mg, 오렌지 중간크기(100mg)
'생활상식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민체조 (0) | 2013.07.18 |
---|---|
[스크랩] 건강 장수는 내 책임 (0) | 2013.07.18 |
[스크랩] 양파의 효능 (0) | 2013.07.18 |
[스크랩] 금지된 암 치료법 (0) | 2013.07.16 |
신장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0) | 201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