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한국어

모음의 발음(입모양)

후쿠시아 2012. 8. 25. 21:53

모음의 발음 | 국어 母(어미,모) 音(소리,음) 發(드러낼,발) 音(소리,음)

모음은 혀의 높낮이와 혀의 앞뒤,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다르게 소리가 난다. 따라서 입을 정확히 벌려 발음하는 것이 중요하다.

‘ㅏ’와 ‘ㅣ’소리 발음하기

  • ‘ㅏ’소리를 발음할 때의 입 모양

    : 턱을 벌려 입술이 위아래로 많이 벌어진다.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멀다.
    예) 나무, 마루, 아가, 가마, 나라

  • ‘ㅣ’소리를 발음할 때의 입 모양

    : 입술이 옆으로 펴진다.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가깝다.
    예) 이마, 이유, 키다리, 이리

    ‘ㅏ’와‘ㅣ’소리 발음하기

      ‘ㅗ’와 ‘ㅜ’소리 발음하기

    • ‘ㅗ’소리를 발음할 때의 입 모양

      :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고 발음한다.
      예) 오리, 오빠, 노루

    • ‘ㅜ’ 소리를 발음할 때의 입 모양
    • ‘ ㅗ’보다 입술을 더 작고 둥글게 오므리고 발음한다.
      예) 수영, 우유, 우산

      ‘ㅗ’와‘ㅜ’소리 발음하기

      ‘ㅐ’와 ‘ㅔ’소리 발음하기

      ‘ㅐ’와 ‘ㅔ’는 입을 벌리는 정도가 다르다. ‘ㅐ’는 ‘ㅔ’보다 입을 조금 더 벌려서 발음한다. ‘ㅐ’는 ‘ㅏ’에 가깝게 ‘ㅔ’는 ‘ㅣ’에 가깝게 입을 벌리면 된다.
      예) ‘ㅐ’ : 매미, 새우, 개구쟁이 / ‘ㅔ’ : 제비, 메뚜기, 베개

      ‘ㅐ’와 ‘ㅔ’소리 발음하기

      ‘ㅓ’와 ‘ㅡ’소리 발음하기

      • ‘ㅓ’는 혀를 조금 올리고 입술을 약간 벌려 발음한다.
        예) 거울, 어머니, 벌, 더럽다, 너구리, 먹이, 버릇
      • ‘ㅡ’는 입술을 평평하게 하고 혀의 뒤쪽을 높여 발음한다.
        예) 은어, 흥미, 느림보, 씀바귀, 금수강산

      ‘ㅓ’와‘ㅡ’소리 발음하기

      ‘ㅑ’, ‘ㅕ’, ‘ㅛ’, ‘ㅠ’소리 발음하기

      • ‘ㅑ’, ‘ㅕ’, ‘ㅣ’소리를 내다가 ‘ㅏ’, ‘ㅓ’소리로 재빨리 옮겨 발음한다.
        예) 야채, 야구, 여우, 여자

        ‘ㅑ’,‘ ㅕ’,‘ ㅛ’,‘ ㅠ’소리 발음하기

      • ‘ㅛ’, ‘ㅠ’, ‘ㅣ’소리를 내다가 ‘ㅗ’, ‘ㅜ’소리로 재빨리 옮겨 발음한다.
        예) 요술, 요리, 유리창, 유자

      ‘ㅑ’,‘ ㅕ’,‘ ㅛ’,‘ ㅠ’소리 발음하기

      ‘ㅔ’와 ‘ㅖ’소리 발음하기

      • : 혀를 ‘ㅓ’소리를 내는 위치보다 조금 높은 자리에서 앞으로 약간 내밀고 보통으로 입을 열어 숨을 쉬면서 발음한다(단모음).
        예) 에워싸다, 누에
      • : 혀를 ‘ㅣ’소리를 낼 때와 같이 하고 있다가 잇달아 'ㅔ'로 옮겨 숨을 내쉬면서 발음한다. 처음과 끝의 입 모양이 달라진다(복모음).
        예) 예절, 무예, 예방하다

      ‘ㅔ’와‘ㅖ’소리 발음하기

      ‘ㅖ’를 ‘ㅔ’로도 발음하는 경우

      • 계집 [계ː집/게ː집]
      • 계시다[계ː시다/게ː시다]
      • 시계 [시계/시게]

      ‘ㅘ’와 ‘ㅝ’소리 발음하기

      • ‘ㅘ’ : 처음에는 ‘ㅜ’를 발음하듯이 입술을 앞으로 내밀고 동그랗게 오므리다가 나중에는 ‘ㅏ’를 발음하듯이 입을 자연스럽게 크게 벌린다(복모음).
        예) 과자, 화단, 과일
      • ‘ㅝ’ : 처음에는 ‘ㅜ’를 발음하듯이 입술을 앞으로 내밀고 동그랗게 오므리다가 나중에는 ‘ㅓ’를 발음하듯이 입을 벌린다(복모음).
        예) 원두막, 권투, 원숭이

      ‘ㅘ’와‘ㅝ’소리 발음하기

      ‘ㅙ’와 ‘ㅞ’소리 발음하기

      • ‘ㅙ’ : ‘ㅜ’소리로 시작하여 ‘ㅐ’로 바꾸어 발음한다.
        예) 왜, 괘종시계, 쐐기, 괜찮아
      • ‘ㅞ’ : ‘ㅜ’에서 시작하여 ‘ㅔ’로 바꾸어 발음한다.
        예) 궤짝, 웬 일, 훼손되다

      ‘ㅙ’와‘ㅞ’소리 발음하기

      ‘ㅚ’와 ‘ㅟ’소리 발음하기

      ‘ㅚ’ : 혀를 보통 위치에서 앞으로 조금 밀어 내면서 두 입술을 좁혀 둥글게 하면서 동시에 ‘ㅔ’를 발음한다. 이 때 입모양이 달라지면 ‘ㅞ’소리가 되므로, 처음과 끝의 입 모양이 달라지지 않게 주의한다(단모음일 때).
      예) 뵙다

      ‘ㅚ’가 이중 모음 ‘웨’로도 발음되는 경우

      • 쇠고기 [쇠고기 / 쉐고기]
      • 외국 [외ː국 / 웨ː국]
      • 괴물 [괴ː물 / 궤ː물]
      • 금괴 [금괴 / 금궤]
      • ‘ㅟ’ : 혀를 보통 위치에서 앞으로 조금 밀어 내면서 두 입술을 좁혀 둥글게 하면서 동시에 ‘ㅣ’를 발음한다. 소리를 낼 때에는 입술 모양과 혀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아야 하므로 처음과 끝의 소리가 달라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단모음일 때).
        예) 쉼, 쉼터, 쉽다

      ‘ㅚ’가 이중 모음‘웨’로도 발음되는 경우

      ‘ㅟ’가 복모음으로 발음‘위’를 발음하면 입술 모양이 처음에는 둥글었다가 나중에 ‘ㅣ’를 발음하게 된다.되는 경우

      예) 위, 뒤, 더위, 귀납법

      ‘ㅢ’소리 발음하기

    • ‘ㅢ’ : ‘ㅡ’소리에서 시작하여 ‘ㅣ’소리로 재빨리 옮겨 발음한다.
      예) 의사, 의견, 의미

      ‘ㅢ’소리 발음하기

      늴리리야[리리야], 띄어쓰기[어쓰기]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