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7. V-(으)ㄴ 적이 있다/없다
수업 내용: 경험을 나타내는‘V-(으)ㄴ 적이 있다/없다’
한 군데도 틀리지 않은 문장은 1개. 나머지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맞춤법, 연결어미 등 골고루 틀린 곳이 있었다.
그런데 초반에 가르쳤던 조사 '-에'와 '-에서'를 다 잊어버렸는지, 왜 '집에 기다려'가 아니라 '집에서 기다려'인지 물어봤다.
설명을 두 세번 했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단다. 의미로서 구분하기 어렵다면 뒤에 오는 동사를 보고 구분하라고 했는데 그것도 다 잊어버렸나 보다.
4.‘V-(으)ㄴ 적이 있다/없다’ 제시 및 연습
T: 과거의 경험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입니다. 영어에서는 have done/had로 표현합니다. 반복되거나 일상적인 일에는 사용할 수 없고, ‘-아/어 보다’와 결합해서 ‘-아/어 본 적이 있다/없다’로 많이 쓰입니다.
T: 보기처럼 연습해 볼게요. (6-10)
T: 혼자 여행 가 본 적이 있어요? / 공항에서 짐을 잃어버린 적이 있습니까? / 한국 사람 집에 초대 받아 본 적이 있어요?
그리고 혹시나 해서 전에 보충 자료로 '-이/가', '-은/는', '-을/를'에 대해서도 정리해 줬는데 그건 읽어보지 않은 것 같다.
'카메라를 없어서'가 왜 틀리냐고 묻는다. '카메라가 없어서'가 맞다고 하니, I have no camera 인데 왜 '를'이 아니냐고 묻는다.
5. 빈도 부사 : 항상/언제나 -> 자주 -> 가끔 -> 거의 ~지 않다 -> 전혀 ~지 않다
달력을 통한 정도 차이 비교
'있다/없다' 동사를 쓰면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이/가'가 와야 하고, '카메라를 갖고 있지 않아서'처럼 '가지다' 동사를 쓰면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이므로 '-을/를'이 와야 한다고 설명해 주었는데 영 이해 못하는 눈치다.
영어하고 다를 게 없는 부분이고, TESOL 같은 과정을 밟은 사람이므로 이 정도는 당연히 쉽게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건 아닌가 보다.
6. 한자어를 통한 반대어 : 불/부(不), 비(非)
T: 영어에서도 반대말을 만들 때 im, un, un, dis 등을 붙여서 만듭니다. 한국어도 이와 비슷하게 한자어 ‘불/부’ 또는 ‘비’를 단어 앞에 붙여 반대어를 만들 수 있어요.
① 가능-불가능(im), 완전-불완전(in), 친절-불친절(un), 만족-불만족(dis), 규칙-불규칙(ir), 동산-부동산
② 논리적-비논리적(il), 표준-비표준(non), 공식-비공식(un), 정상-비정상(ab), 대칭-비대칭(a), 공개-비공개
내 생각으로는 복습이 좀 부족한 듯...
암튼 이런 걸 설명하다가 30분이 훌쩍 지나서, 2주 전에 내 준 관형사형 전성어미 연습 확인하고, 지도를 보면서 'V-아/어 보다' 연습을 진행했다. 별 다른 문제 없이 잘 대답했다.
그리고 나서 지난 주에 다 하지 못한 부분의 수업을 진행했다.
'V-(으)ㄴ 적이 있다/없다'와 'V-아/어 보다'의 결합까지 수월하게 진행되고 연습도 잘 마쳤다.
시간이 없어서 빈도부사와 한자 반대어는 집에서 읽어 보고 다음 시간에 간단히 보자고 했더니, 반대어에 불,비를 붙이는 기준이 뭐냐고 물어봤다. '춥다'의 반대는 '불춥다'냐 '비춥다'냐며. 그 말은 불,비를 붙일 수 없고 '춥지 않다'이며, 모든 어휘에 쓸 수 있는 건 아니고 불,비를 붙이는 기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고, 다만 어떤 어휘의 앞에 불,비가 써 있다면 그 단어는 부정적인 단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고 말해줬다.
불,비 사용에 대한 특별한 기준이 있나? 찾아봐야 겠다.
7일차 수업으로 준비한 건 하나도 못했다.
8일차 수업은 조금만 준비해야지.
6-7 ‘V-아/어 보다’ 연습
6-8, 6-9 ‘V-(으)ㄴ 적이 있다/없다’ 제시
6-10 ‘V-(으)ㄴ 적이 있다/없다’ 연습
6-11 빈도부사
6-12 한자어를 통한 반대어 ; 불/부, 비
'외국어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랑의 뜻 (0) | 2012.09.19 |
---|---|
조사 ‘-에/에서’, 연음, V-(으)ㄹ 거예요 (0) | 2012.09.19 |
[스크랩] 영화로 마음을 치유한다 (0) | 2012.09.16 |
모음의 발음(입모양) (0) | 2012.08.25 |
[스크랩] 국어학 개념 및 문법 정리 (0) | 201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