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의 뜻
아리랑의 아리는, 고운, 이라는 뜻의 옛말이고 랑은 님을 가르킨다고 볼수있습니다
아리가 옛 국어에서 아름답다, 곱다, 아름다운의 뜻으로 쓰인흔적은 현대의 한국어에서 아리따운(아리+다운)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뿐아니고 몽골에서는 지금도 아리는 고운, 곱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볼때 아리랑의 첫번째의 뜻은 고운님이라는 것입니다.
1.아리랑의 뜻
두번째로 쓰리랑은 마음이 쓰리다 즉 마음이 아리다와 유사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을 하면 쓰리랑은 마음이 아리고 쓰리도록 그리운 님이라는 뜻이 되는 것입니다.
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말로 이는 상사병의 고대 우리말로 판단됩니다. 근대 한국어에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말로 가슴아리(가슴앓이) 에서 어렴풋이나마 그 흔적을 엿볼수 있습니다.
아리랑의 대표적 어휘인 <아리랑>에 대해서도 그 유래에 관한 많은 논란이 있다. 아랑설(阿娘說)·알영설(閼英說)·알영고개설을 비롯하여 대원군시대를 유래의 시점으로 보는 아이롱설(我耳聾說)·아난리설(我難離說)·아리랑설(我離娘說)·아랑위설(兒郞偉說) 등이 있다. 이 밖에 양주동(梁柱東)이나 이병도 등의 학자에 의해 아리랑이 옛 지명이라는 설도 제기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아리랑의 성립시기나 아리랑의 어원에 대한 정설은 없다.
이러한 설들은 아리랑이라는 말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된 것이다. 그러나 《닐늬리》 《청산별곡》 《군마대왕(軍馬大王)》의 후렴구처럼 아리랑도 관악기의 구음(口音)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유래된 것으로 보는 것이 보다 일반적인 설이다.
3.아리랑의 종류
《강원아리랑》은 <자진아리>라고 하던 것으로 《정선아리랑》에 비해 장단이 훨씬 빠르고 영서(嶺西)·인제(麟蹄)지방 일대에서는 《뗏목아리랑》으로도 알려져 있다. 분포지역은 영동(嶺東)·영서지방이다. 《진도아리랑》은 전라도지역뿐만 아니라 충청남도와 경상남도의 일부지역, 제주도 등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은 밀양을 중심으로 경상남도지방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아리랑에 비해 분포지역이 제한되어 있다. 이외에 특수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아리랑이 있다. 천연두 예방주사를 보급시키기 위한 《종두(種痘)아리랑》, 문맹퇴치를 위한 《한글아리랑》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아리랑은 민요에만 머물지 않고 대중가요와 접목되면서 많은 창작아리랑이 만들어졌다. |
'외국어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문 사자성어 (0) | 2012.09.25 |
---|---|
'에'와 '에서'의 차이 (0) | 2012.09.20 |
조사 ‘-에/에서’, 연음, V-(으)ㄹ 거예요 (0) | 2012.09.19 |
V-(으)ㄴ 적이 있다/없다 , 빈도 부사, 불/부(不), 비(非) (0) | 2012.09.19 |
[스크랩] 영화로 마음을 치유한다 (0) | 201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