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자음 동화의 조건 : 음절의 끝 자음이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나 양쪽이 다른 소리를 닮아 소리가 바뀌는 것을 자음 동화라고 한다.
②자음 동화의 조건
㉠결정적 변화
종류 |
성격 |
예 |
비음화 |
'ㅂ,ㄷ,ㄱ'이 비음 'ㅁ,ㄴ'앞에서 각각 'ㅁ,ㄴ,ㅇ'이 되는데 이것은 파열음이 비음 앞에서 그것을 닮아 비음이 된다. |
·밥물→[밤물], 국물→[궁물], 속는다 →[송는다], 맏며느리 →[만며느리]
·부엌문 →[부억문] →[부엉문], 흙냄새 →[흑냄새] →[흥냄새]'
|
비음화 |
비음'ㅁ,ㅇ'과 유음'ㄹ'이 만나면 'ㄹ'이 비음 'ㄴ'이 된다. |
·남루 → [남누], 종로 → [종노]
|
비음화 |
'ㅂ,ㄷ,ㄱ'과 'ㄹ'이 만나면 'ㄹ'이 'ㄴ'이 되고, 이렇게 변해서 된 'ㄴ'을 닮아서 그 앞의 'ㅂ,ㄷ,ㄱ'이 각각 비음'ㅁ,ㄴ,ㅇ'이 된다. |
·섭리→[섭니]→[섬니], 백로→[백노]→[뱅노]
·몇 리→[멷리]→[멷니]→[면니]·
|
설측음화 |
비음'ㄴ'이 설측음 'ㄹ'의 앞·뒤에서 'ㄹ'로 변하는 현상 |
·
신라→[실라], 칼날→[칼랄], 난로→[날로]
|
설측음화 |
'ㅀ,ㄾ'과 같은 겹자음들도 뒤에 'ㄴ'이 오면 'ㄴ'이 'ㄹ'로 변한다. |
·앓+는→[알른], 끓+는→[끌른], 훑+는→[훌른]
|
㉡수의적 변화
종류 |
성격 |
예 |
연구개음화 |
/ㄷ→ㄱ/ |
숟가락→[숙까락], 뒷공론→[뒤꽁논], 맡기다→[막끼다]
|
연구개음화 |
/ㅂ→ㄱ/ |
밥그릇→[박끄륻], 접견→[적껸], 갑갑하다→[각까파다]
|
연구개음화 |
/ㄴ→ㅇ/ |
건강→[겅강], 둔갑→[둥갑], 반기다→[방기다]
|
연구개음화 |
/ㅁ→ㅇ/ |
감기→[강기], 담그다→[당그다], 꼼꼼하다→[꽁꼼하다]
|
양순음화 |
/ㅅ→ㅂ/ |
엿보다→[엽뽀다], 냇물→[냄물]
|
양순음화 |
/ㄴ→ㅁ/ |
신문→[심문], 산불→[삼뿔]
|
③ 동화의 방향 : 동화의 방향에 따라 순행 동화, 역행 동화, 상호 동화 등으로 나누기도 하고, 동화의 정도에 따라 완전 동화와 불완전 동화로 나누기도 한다.
기준 |
종류 |
성격 |
예 |
동화의 방향에 따라 |
순행 동화 |
뒷소리가 앞소리를 닮게 되는 것 |
심리 → [심니], 동란 →[동난], 칼날 → [칼랄]
|
동화의 방향에 따라 |
역행 동화 |
앞소리가 뒷소리를 닮게 되는 것 |
천리 → [철리], 한라 → [할라]
|
동화의 방향에 따라 |
상호 동화 |
서로 닮게 되는 것 |
십리 → [심니], 독립→ [동닙]
|
동화의 정도에 따라 |
완전 동화 |
완전히 같아지게 되는 것 |
천리 → [철리], 값만 → [감만]
|
동화의 정도에 따라 |
불완전 동화 |
비슷하게 닮는 것 |
앞날 → [암날], 먹는 → [멍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