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은 국어에서 음절의 끝소리 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ㅇ'의 일곱 중의 하나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①규칙1(음운 변동) ㉠ㅍ→ㅂ 예)잎→[입], 앞→[압] ㉡ㅅ,ㅆ,ㅈ,ㅊ,ㅌ,ㅎ→ㄷ 예)옷→[옫], 있(고)→[읻(꼬) ], 낮→[낟], 꽃→[꼳], 바깓→[바깓], 히읗→[히읃] ㉢ㄲ,ㅋ→ㄱ 예)밖→[박], 부엌→[부억]
②규칙2(음운의 선택) ㉠ㅄ,ㄳ,ㄵ,ㄶ,ㄽ,ㄾ,ㅀ : 앞 자음이 선택된다. 예)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앉-고→[안꼬] ㉡ㄻ, ㄿ : 뒷 자음이 선택된다. 예)젊-다→[점따], 읊-지→[읍찌] ㉢ㄺ, ㄼ : 불규칙이다. ⓐㄺ : 'ㄺ'이 용언의 어간 끝 자음이고 뒤에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오면, 첫 자음인 'ㄹ'이 선택 예)읽-고→[일꼬], 밝고→[발꼬] ⓑㄼ : '밟-'의 'ㄼ'은 자음 앞에서 'ㅂ'이 선택된다. '넓-'의 'ㄼ'은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 다[넙뚱글다]'의 경우에는 'ㅂ'이 선택된다. 예)넓-다→[널따], 밟-다→[밥따] ㉣'ㄶ, ㅀ'의 뒤에 'ㄷ, ㅈ, ㄱ'가 오면, 'ㅎ'도 축약되어 발음된다. 예)않던→[안턴], 닳지→[달치], 많고→[만코]
③규칙3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면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뒤따르는 모음의 첫소리로 소리나는 현상을 연음 법칙이라 한다. 예)꽃 + 이→[꼬치], 옷 + 을→[오슬] ㉡겹자음인 경우에는 뒤의 음운이 뒷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소리가 난다. 예)넋 + 이→[넉씨], 앉 + 아→[안자] ㉢자음으로 끝나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를 만나면 'ㄱ,ㄴ,ㄷ,ㄹ,ㅁ, ㅂ, ㅇ'의 대표음으로 소리나는데, 이를 절음 법칙이라고 한다. 예)꽃 + 위에 →[꼬뒤에], 옷 + 안 →[오단], 꽃 + 잎 →[꼰닙] ㉣음절 끝이 겹자음인 경우에도 절음 법칙에 따라 '값[갑], 읽고[일꼬], 넓다[널따]'와 같이 대표음으로 발음된다. |
'외국어 >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의 문법적인 성격: 대명사, 관형사, 부사 (0) | 2012.12.22 |
---|---|
'그러나'와 ' 그런데' 의 차이 (0) | 2012.12.22 |
음운의 동화 : 자음 동화 (0) | 2012.12.21 |
음운의 변동-음운의 동화 : 구개음화(口蓋音化) (0) | 2012.12.21 |
음운의 변동 - 음운의 동화 :모음 조화 (0) | 201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