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8.문법 기능-높임 표현 주체 높임법 주체 높임법 ⇒ 말하는 이가 문장의 주어, 곧 서술의 주체에 대하여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 주체 높임의 방법 ⑴ 선어말 어미 '-(으)시-'에 의해 예> 할아버지께서 오셨습니다(오시었습니다). 선생님께서 그 책을 읽으셨다(읽으시었다.). ⑵ 주격조사 '께서'에 의해 예>..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8.문법 기능-시간 표현 발화시 : 서술 대상의 동작이나 상태가 전달되는 시점. 사건시 : 서술 대상의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나는 시점. 시제란 ? ⇒ 말하는 이가 발화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앞뒤를 제한하는 문법 기능. 현재 시제 현재 시제 → 사건시와 발화시가 같은 시점임을 나타내는 것. 현재 시제의 실현 ⑴..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8.문법 기능-사동 표현 사동 표현 사동(使動) ⇒ 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 기능. # 주동(主動) : 주어가 직접 동작을 하는 것. 예> 철수가 책을 읽었다. (주동문) ⇒ (선생님께서) 철수에게 책을 읽히셨다. (사동문) 얼음이 녹는다. (주동문) ⇒ (난롯불이) 얼음을 녹인다. (사동문) 철..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8.문법 기능-피동 표현 피동 표현 피동(被動) ⇒ 주어가 남의 행동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법 기능. # 능동(能動) : 주어가 제 힘으로 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법 기능. 예> 사냥꾼이 토끼를 잡았다.(능동) ⇒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히었다. (피동) 영현이가 아름다운 가을 경치를 보았다.(능동) ⇒ ..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8.문법 기능-부정 표현 부정 표현 부정(不定) ⇒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 # 긍정(肯定) 예>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났다. →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않았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못했다. 부정문의 두 갈래 ⑴ '아니(안)' 부정문 → 어떤 상태가 그렇지 ..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13.바른 언어 생활-발음 발 음 음운의 발음 : 우리말에서 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거나 혼동이 심한 것이 '겹받침의 발음'이다. ⑴ 'ㄺ, ㄻ, ㄿ'의 발음 → 이들은 대체로 [ㄱ, ㅁ, ㅂ]로 발음되며, 'ㄺ'이 어간 말음이고 그 뒤에 'ㄱ'이 오면 [ㄹ]로 발음함. 그리고 이 겹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한글맞춤법 정리(220제) 한글맞춤법 정리 1. 김치찌개( ○ ) 김치찌게( ) 2. 떡 복기( ) 떡볶이( ○ ) 떡볶기( ) 떡뽁기( ) 3. 얽 히고 설키다( ○ ) 얼키고 설키다( ) 4. 깨 끗이( ○ ) 깨끗히( ) 5. 양 복마춤( ) 양복 맞춤( ○ ) 6. 아 기의 돌잔치( ○ ) 아기의 돐잔치( ) 7. 아 름다워라(○ ) 아름다와라( ) 8. 금 새( ) 금세( ○ ) 9..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하므로`와 `함으로` 문장의 앞 절이 뒷 절의 '이유, 원인'이 되는 것은 '하므로'를 써야 하고 앞 절이 뒷 절의 '수단․도구․재료'가 되는 것은 '함으로'를 써야 한다. 따라서 '하므로'와 '함으로'는 '함으로'에만 '-써'를 붙일 수 있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즉 '하므로'는 동사 어간 '하-'에 까.. 외국어/한국어 2013.03.09
[스크랩] 숫자와 단위을 나타내는 우리말 1. 온 : 100 - 백(百) 2. 즈믄 : 1,000 - 천(千) 3. 거믄, 골 : 10,000 - 만(萬) 4. 잘 : 100,000,000 - 억(億) 5. 가마 : 갈모나 쌈지 같은 것을 셀 때 100 개를 이르는 말. *갈모: 비가 올 때에 갓 위에 덮어쓰는, 기름에 결은 종이로 만든 물건. 펴면 고깔 비슷하게 위는... 외국어/한국의 전통문화 2013.03.09
[스크랩] ‘알맞는’과 ‘알맞은’ '어떤 것에 모자람이나 넘침이 없이 딱 들어맞다'는 뜻인 '알맞다'는 '안성맞춤'의 뜻과도 통하는 말이다. '알맞다'의 표기와 발음이 틀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알맞는'과 '알맞은'을 자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알맞은’이 바른 표기이다. 발음은 [알마즌]으로 하면 된다. (신배.. 외국어/한국어 201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