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조선조 임금님들의 친필 조선조 임금들 친필 列聖御筆十二編: . : 肅宗大王御筆: . 使人長智英如學:지혜를 기름은 배옴만한 것이 없고 若玉求文必待琢:구슬의 문채는 다듬기를 기다리는 법. 經書奧旨干誰問:경서의 깊은 뜻을 누구에게 물으랴? 師傳宜親不厭數:스승을 친히하여 자주 물어야 한다네. : : : 英祖大王.. 외국어/한국어 2013.01.20
'왜냐면'과 '왜냐하면'의 바른 표현 '왜냐면'과 '왜냐하면'의 바른 표현 질문 : 왜냐면이 맞는 표현인가요? 왜냐하면의 줄임말로 쓰일 수 있나요? 답변 : ‘왜냐면’을 쓸 수 있습니다. ‘왜냐면’은 ‘왜+-이-+-냐면(‘-냐고 하면’이 줄어든 말)’이 줄어든 말입니다. 한편, ‘왜냐하면’은 ‘왜 그러냐 하면’의 뜻을 나타내.. 외국어/한국어 2013.01.17
'외', '왜'의 발음 '외', '왜'의 발음 질문 : '외'를 어떻게 발음하면 좋을지 설명해 주세요. 답변 : 전설 원순 모음인 'ㅚ'는 원칙적으로 단모음으로 규정합니다. 즉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동시에 'ㅔ'를 발음합니다. 그러나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계기적으로 'ㅔ'를 내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합니다. '.. 외국어/한국어 2013.01.17
'외골수'와 '외곬 '의 바른표현 '외골수'와 '외곬 '의 바른표현 질문 : 여기 와서 검색해 보니 '외곬'이란 단어와 '외골수란 단어가 둘 다 검색되는데요, 어느 것이 맞는 건가요? 포털 사이트 사전 검색란에는 '외곬'만 맞고 '외골수'는 틀린 표현이라고 나와서요. 답변 : ‘외골수’와 ‘외곬’ 모두 표준어입니다. 다만, .. 외국어/한국어 2013.01.17
[스크랩] 토익, 어휘문제 이렇게 풀어라 토익, 어휘문제 이렇게 풀어라 어휘는 이렇게 푼다. 토익 시험을 한 번이라도 본 사람은 느끼겠지만 가장 많이 틀리는 것이 바로 어휘 문제이다. 실제 어휘 문제의 정답은 중고등 학생들도 알고 있는 어휘가 80~90%를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휘 문제를 많이 틀리는 것은 그 만큼 언.. 외국어/영어 2013.01.13
[스크랩] What does 아리랑 mean? 한국과 한국어을 공부하는 분들이 모인 그룹이 있습니다. 그곳을 통하여 한국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배우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그 중 어느 분이 "아리랑"에 대한 질문을 해 주셨습니다. 그 답글을 올립니다. 이런 글을 블로그에는 안 올리는데, 하도 반응이 좋아서, .. 외국어/한국어 2013.01.08
[스크랩] " 정 " 을 영어로 ? 안녕하세요. 늘 눈팅하다가 오랜만에 좋은걸 발견해서 한번 올려봅니다. 저는 어린나이에 이민을와서 한국말도 영어도 제대로 하는게 하나없습니다. 그래도 뭘 조금안다고 한국 사람이라고... 그 " 정 " 이라는걸 너무 좋아하고 참 많아요. (제가요 ^^) 근데... 이 " 정 " 이라는 말은 타국사.. 외국어/한국어 2013.01.08
'몸뻬'의 순화어 '몸뻬'의 순화어 질문 : 우리가 흔히 아줌마들이 편하게 막 입는 바지를 '몽빼'라고 하잖아요. 근데 몽빼, 몸빼 중 어떤 게 맞는 표기인가요? 그리고 외래어라면 어원도 좀 알려 주세요. 답변 : '몸뻬'는 일본에서 들어온, 여자들이 일할 때 입는 바지의 하나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는 'もん.. 외국어/한국어 2013.01.05
[스크랩] 맞춤법/문법 검사기, 로마자 변환기, 우리말사전 오늘은 한글날~ 위대한 우리의 문화유산~ 한글을 바로 사용하고 사랑합시다~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로마자 변환기 표준발음 변환기 외래어-한글표기 상호변환기 순화용어사전 토박이말사전(순우리말사전) 우리말본사전 맞춤법 시험 외국어/한국어 2012.12.31
[스크랩] abcd I don't believe it. 난 그것을 믿지 않아요 I don't care. 상관없어 I don't get it. 이해를 못하겠네 I don't like it. 맘에 안들어요 I doubt it. 의심이 가는데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요 I fee the same way. 동감입니다 I get it. 알았어요 I got lost. 길을 잃었어요 I have got to go now. 가야 겠어요 I have had enough. I qu.. 외국어/영어 201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