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논문 작성법 논문이란 자료와의 전쟁 논문작성 1단계(준비단계) 논문은 수학적(통계적) 자료를 이용할 때도 있고 비수학적 자료만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많다. 비수학적 자료를 이용한다고 해서 그 논문을 쓸모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사회현상은 반드시 수치로만 표현되는 것은 아니며 언어.. 외국어/한국어 2012.11.24
제8 과 바지를 사려고 해요. (Korean Language 8) 단어(words) 제8 과 바지를 사려고 해요. (Korean Language 8) 단어(words) 한국어 (Korean) 영어 (English) 베트남어 (Tiếng Việt) 한국어 (Korean) 영어 (English) 베트남어 (Tiếng Việt) 쇼핑센터 shopping center Trung tâm mua sắm 바지 pants(trousers) Quần 의류매장 clothing store Cửa hàng quần áo .. 외국어/베트남어 2012.11.24
'빨간색'과 '빨강색'의 바른 표기는? '빨간색'과 '빨강색' 의 바른 표기는? 질문 : 색명을 표기할 경우 빨강, 노랑, 파랑 등 뒤에 명사 '색'이 붙는 경우 빨강색, 노랑색, 파랑색이 올바른 표기입니까? 아니면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 올바른 표기법입니까? 답변 : ‘빨간색’, ‘빨강’이 표준어입니다. 흔히 '빨간색'과 '빨강.. 외국어/한국어 2012.11.22
'푸다'의 쓰임 '푸다'의 쓰임 질문 : TV에서 '밥 푸기'라는 자막이 나와서 밥을 퍼는 거 아닌가 해서 봤더니 '퍼다'라는 단어는 없고 '푸다'라고 하네요. 근데 '푸다' 설명에도 '퍼'라는 말을 쓰잖아요. 어떨 때 푸다를 쓰고 어떨 때 퍼를 쓰는지 알려 주세요. 답변 : "속에 들어 있는 액체, 가루, 낟알 따위를 .. 외국어/한국어 2012.11.21
[스크랩] [우리말] 날으는 원더우먼은 없다 날으는 원더우먼은 없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큰 인기를 끈 텔레비전 프로가 있다. 만화를 원작으로 한 '하늘을 날으는 원더우먼'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 제목은 잘못된 표기로, '하늘을 나는 원더우먼'이라고 해야 한다. '날다'는 "새나 곤충이 날개를.. 외국어/한국어 2012.11.20
[스크랩] [우리말] ‘~오’ 와 ‘~요’ 는 어떻게 다른가? 글을 자주 쓰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오와 요가 햇갈리는 경우가 많다. 우리말 중 오와 요의 올바른 쓰임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오' 종결형에서 쓰이는 어미 '오'는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에 붙어 '하오'할 상대에게 의문·명령·설명·베풂을 나타낸다. 또 높임의 '~시~' 밑에 쓰이.. 외국어/한국어 2012.11.20
제7 과 만 원짜리 지폐가 두 장 있어요. (Korean Language 7) 제7 과 만 원짜리 지폐가 두 장 있어요. (Korean Language 7) 단어(words) 한국어 (Korean) 영어 (English) 베트남어 (Tiếng Việt) 한국어 (Korean) 영어 (English) 베트남어 (Tiếng Việt) 운동화 sneakers giầy thể thao 손님 guest, visitor khách hàng 켤레 a pair of (socks) khăn lau 물건 thing đ&#.. 외국어/베트남어 2012.11.18
Vst-아/어 주세요, N주세요., Vst-(으)세요 Vst-아/어 주세요, Vst-(으)세요, N 주세요. 1. Vst-아/어 주세요/ N주세요 (1) 문 닫아 주세요 ; 두 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주세요 : When you ask someone for something what you need or want 영수증 주세요. 물 주세요. 등 등 * Vst-아/어 주세요 : When you ask someone to perform an action 예약해 주세요. 천천.. 외국어/영어 2012.11.16
[스크랩] 일본식 한국말 우리가 알면서도 모르는 일본식 한국말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면서도 일제 강점기부터 쓰던 일본식 한국말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순일본말 다음은 순일본말이지만 알면서도 쓰고, 또 몰라서도 쓴 것들이다. 1. 가께우동(かけうどん) -> 가락국수 2. 곤색(紺色, こん.. 외국어/한국어 2012.11.14